요세 ()

불교
인물
고려시대 백련결사운동을 전개한 승려.
이칭
안빈(安貧)
시호
원묘국사(圓妙國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63년(의종 17)
사망 연도
1245년(고종 32) 5월
출생지
경상남도 합천
정의
고려시대 백련결사운동을 전개한 승려.
개설

속성은 서씨(徐氏). 자는 안빈(安貧). 법명은 요세(了世). 경상남도 합천 출신. 아버지는 신번현(新繁縣)의 호장을 지낸 필중(必中), 어머니는 서씨이다. 천태종을 중흥시켰으며, 백련결사(百蓮結社)운동을 전개하였다.

생애와 활동사항

1174년(명종 4)합천 천락사(天樂寺)로 출가하여 균정(均定)을 은사로 삼아 천태교관(天台敎觀)을 닦았다. 1185년 승과에 합격하였고, 그 뒤 천태종지(天台宗旨)에 뜻을 둔지 몇 년 만에 높은 덕망을 얻었다.

1198년(신종 1) 개경의 고봉사(高峯寺) 법회에서 천태종지에 대해 대중을 굴복시켰다. 같은 해 10여 명의 동지와 함께 후진 양성과 수련을 위하여, 영동산 장연사(長淵寺)를 시작으로 전국의 유명한 사찰을 순례하였다.

한편, 거조사(居祖寺)에서 지눌의 정혜결사(定慧結社)운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을 때, 함께 지내면서 정혜사(定慧社)의 선(禪) 수행법을 익혔다. 그 뒤 남원 귀정사(歸正寺)에서 천태의 『묘종(妙宗)』을 강의하였으며, 화장암(華長庵)에서 선을 참구하였다.

1208년(희종 4) 영암 월생산(月生山) 약사난야(藥師蘭若)에 거주하고 있을 때 천태종 중흥의 사명을 자각하게 되는데, 이 일은 그가 지눌의 조계선(曹溪禪)에서 천태종으로 복귀하는 사상의 전환점이 되는 동시에, 뒷날 전개한 백련결사운동의 근본 입장이 되기도 하였다.

즉, 지눌의 돈오점수(頓悟漸修)사상은 근기가 높은 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고, 근기가 낮고 업장이 깊은 중생에게는 이론화된 천태선의 일심삼관(一心三觀)과 참회수행이 보다 유효하다고 보았다. 또한 깨달음을 방해하는 120가지의 사견(邪見)을 벗어나려면 천태종의 수행 방법에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 뒤 약사사에서 천태학 강의를 하면서, 대중과 참회 수행을 하고 있을 때, 탐진현(耽津縣: 지금의 전라남도 강진)의 최표(崔彪)·최홍(崔弘)·이인천(李仁闡) 등이 만덕사(萬德寺) 옛터로 옮길 것을 청하였다. 1216년(고종 3) 만덕산에 800여 칸의 절이 완성되자 이곳에서 천태종 중흥에 힘을 기울였다. 1221년 대방(帶方: 전라북도 남원) 태수(太守)인 복장한(卜章漢)이 관내로 올 것을 요청하여, 대방관 내의 백련산(白蓮山)으로 옮겨 몇 년을 지내고, 1223년 최표 등의 요청으로 만덕사로 돌아왔다.

69세 되던 1232년 처음으로 만덕사에서 보현도량(普賢道場)을 결성하고 전통적인 법화삼매참회(法華三昧懺悔)를 닦았다. 결사운동은 보현도량의 개설을 계기로 하여 체계가 정비되었고, 백련사(白蓮社)라는 결사의 명칭도 이때부터 사용되었다. 백련결사운동의 구체적인 실천 내용은 천태지관(天台止觀)·법화삼매참(法華三昧懺)·정토왕생(淨土往生)이었다.

1236년에는 뒷날 백련사의 제4세 조사가 된 천책(天頙)이 「백련결사문」을 찬술하였고, 법화참회를 수행하게 된 사람이 수천 명이었다. 고종은 1237년 그에게 선사(禪師)의 법계를 내렸고, 정화옹주는 백련사의 외호에 힘써 무량수불상(無量壽佛像)을 봉안하고 금자(金字)로 『법화경』을 쓰게 했다.

1240년『계환해묘법연화경(戒環解妙法蓮華經)』을 개판하여 널리 보급하였는데, 이때 최이(崔怡)가 발문을 썼다. 백련사 보현도량은 최씨 무신정권과 깊은 관계를 맺고 성장하였다.

1245년 4월에 제자인 천인(天因)에게 백련사를 맡기고, 같은 해 7월에 입적하였다.

저술로는 『삼대부절요(三大部節要)』가 있는데, 이것은 천태지의(天台智顗)의 『법화현의(法華玄義)』, 『법화문구(法華文句)』, 『마하지관(摩訶止觀)』 등 3대부의 요점을 뽑아 묶은 것이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원묘국사(圓妙國師), 탑명은 중진(中眞)이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조선총독부, 1919)
「원묘요세(圓妙了世)의 백련결사(白蓮結社)와 그 사상적(思想的) 동기(動機)」(고익진, 『불교학보』15, 1978)
「요세(了世)의 수행(修行)과 준제주송(准提呪誦)」(서윤길, 『한국불교학』3, 1977)
집필자
서윤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