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공 ()

고려시대사
제도
중국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빈공과(賓貢科) 과거시험의 응시자.
목차
정의
중국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빈공과(賓貢科) 과거시험의 응시자.
개설

우리 나라 사람이 당(唐)·송(宋)·원(元)의 빈공과 또는 제과(制科)에 급제한 경우는 많았다. 신라시대 처음 숙위유학생(宿衛留學生)으로 시작하여 9세기에는 사비유학생(私費留學生)이 증가하면서 빈공과에 급제한 자가 나타났다.

변천과 현황

최치원(崔致遠)의 후손인 최해(崔瀣)는 820∼906년 사이에 당나라의 빈공과에 급제한 신라인이 58인이라 하였고, 다시 907년부터 오대말(五代末)까지 32인이 급제하였으나 여기에는 10여인의 발해인(渤海人)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였다.

특히 신라 말 육두품으로서 빈공과에 급제한 자가 많았는데 최치원·최승우(崔承祐)·최언위(崔彦撝) 등은 그 대표적인 인물로, 이들은 후삼국시대의 지성인으로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송나라의 빈공과에 급제한 사람으로 김행성(金行成)·강진(康鄑)·최한(崔罕)·왕림(王琳)·김행적(金行績)·강무민(康撫民)·권적(權適)·조석(趙奭)·김단(金端) 등은 고려의 과거에 급제한 뒤 유학하여 급제하였으며, 대부분 귀국하여 문한관(文翰官)으로 명성을 떨쳤다.

원나라의 제과에서는 안진(安震)·최해·안축(安軸)·안보(安輔)·조렴(趙廉)·이곡(李穀)·이색(李穡)·이인복(李仁復)·윤안지(尹安之) 등이 급제하였으며, 명나라의 과거에는 김도(金濤)만이 급제하였으나 빈공을 곧 폐지하였다.

고려시대의 과거제에는 빈공과가 없었으나, 전기에 제주(濟州)의 성주(星主 : 牧使)인 고씨(高氏)에게 빈공으로 응시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 과거

참고문헌

『고려과거제도사연구(高麗科擧制度史硏究)』(허흥식, 일조각, 1981)
「숙위학생고(宿衛學生考)」(신형식, 『역사교육(歷史敎育)』11·12, 1969)
「元高麗關係の一齣」(丸龜金作, 『靑丘學叢』18, 1934)
집필자
허흥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