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관풍류 ()

목차
국악
작품
향피리 위주로 편성되는 삼현육각으로 연주하는 음악.
이칭
이칭
거상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향피리 위주로 편성되는 삼현육각으로 연주하는 음악.
내용

향피리 위주로 편성되는 삼현육각으로 연주하는 음악.

일명 자진한잎·경풍년(慶豊年)이라고 한다. 가곡(歌曲)의 우조 두거(頭擧), 변조 두거, 계면조 두거, 그리고 계면조의 평롱(平弄), 계락(界樂), 편삭대엽(編數大葉) 등 여섯 곡을 가곡 반주의 양식이 아닌 독주나 합주의 형태로 연주할 때 붙여진 곡명이다.

가곡을 반주하기 위해서는 관현악기들, 즉 거문고·가야금·세피리·대금·해금·장구·단소·양금 등이 단재비[單差偏]로 편성되어 노래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나 독주나 합주 등 독자적으로 연주되는 사관풍류에서는 노래와 현악기들이 제외되므로 악기의 음량을 제한받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피리는 가곡 반주시에 소리가 작은 세피리를 사용하지만 사관풍류에서는 소리가 큰 향피리로 바뀌며, 대금의 경우는 가곡 반주시에 낮은 소리가 대부분이나, 사관풍류에서는 청성(淸聲:높은 음)을 많이 쓴다. 해금의 경우도 원산(遠山, bridge)의 위치를 조절하여 음량의 크기를 구별한다.

사관풍류의 합주시 편성악기들은 향피리·대금·해금·아쟁·장구 등이며, 음향이 작은 가야금·거문고·단소·양금 들은 제외시키는 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관풍류라는 것은 향관(鄕管), 즉 향피리가 중심이 되는 음악이다. 사관풍류라는 명칭은 위의 6곡을 모두 묶어 부르는 통칭이지만 더 구체적으로는 우조의 두거와 변조의 두거를 가리키며, 계면조의 두거는 염양춘(艶陽春)으로, 그리고 계면조의 평롱, 계락, 편삭대엽은 수룡음(水龍吟)이라는 구분 명칭도 있다.

수룡음은 단소와 생황의 병주로 많이 연주되고 있으며, 염양춘은 합주나 피리의 독주곡으로 유명하고 경풍년은 합주나 피리·대금의 독주곡으로 널리 연주된다. 어느 곡이든 간에 가곡의 대여음(大餘音)은 생략하고 1장부터 바로 시작되며, 2장·3장을 거쳐 중여음(中餘音)을 연주하고 4장·5장으로 이어진다.

이 사관풍류를 자진한잎으로 부르는 이유는 이 음악이 바로 가곡을 연주하기 때문이다. 금일의 가곡, 일명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은 삭대엽(數大葉)에서 유래되었고 삭대엽을 순 우리말로 옮기면 자진한잎이 된다.

사관풍류 6곡 중에서 가장 들을만한 곡으로는 계면조로 된 두거를 꼽는다. 이 곡은 염양춘이라는 이름 외에도 잔치 때 상을 받기 전에 쓰인다고 해서 거상악(擧床樂)이라는 별명도 있다. 특히 향피리로 이 곡을 독주할 때에는 가곡을 반주할 때처럼 그렇게 엄격한 양식에 매이지 않고 가락이나 리듬이 훨씬 자유스러워진다.

황(黃≒Eb)→중(仲≒Ab)으로 드러내고 다시 4도 위의 음으로 상진행하다가 피리 특유의 주법인 서침을 강하게 하고 임(林≒Bb)으로 쭉 뻗어내리는 선율은 이 음악의 중심선율이며 4장을 제외한 전장에 들어 있는 시원하고 명쾌한 가락이다.

참고문헌

『한국음악』 4(김기수, 국립국악원, 1969)
『한국악기대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6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