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부진·구토·하리(下痢) 및 팔다리의 무력증·치질·탈항(脫肛)·유뇨증(遺尿症)·야뇨증(夜尿症)에도 응용한다.
이 처방은 중국의 『화제국방』에서 첫 기록을 보인 이래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제중신편』·『방약합편』 등 모든 의학서적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인삼·백복령·백출·감초 각 5g, 생강·대추로 구성되었고, 이 처방에다 진피를 더하면 비위(脾胃)의 기능을 조절하는 이공산(異攻散)이 되며, 이 처방에 다시 진피·반하를 더하면 원기가 모자라 담(痰)이 생기고 비장(脾臟)이 허약해져서 발생되는 고창(鼓脹: 복부가 마치 북과 같이 붓고 커지는 증상)을 치료하는 육군자탕(六君子湯)이 된다.
이밖에도 이 처방에 약재를 보태고 빼고 하여 만들어진 많은 처방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기본처방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