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군자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위장의 기능이 허약하여 빈혈의 경향이 있고 원기가 쇠약한 사람에게 사용되는 처방.
목차
정의
위장의 기능이 허약하여 빈혈의 경향이 있고 원기가 쇠약한 사람에게 사용되는 처방.
내용

식욕부진·구토·하리(下痢) 및 팔다리의 무력증·치질·탈항(脫肛)·유뇨증(遺尿症)·야뇨증(夜尿症)에도 응용한다.

이 처방은 중국의 『화제국방』에서 첫 기록을 보인 이래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제중신편』·『방약합편』 등 모든 의학서적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인삼·백복령·백출·감초 각 5g, 생강·대추로 구성되었고, 이 처방에다 진피를 더하면 비위(脾胃)의 기능을 조절하는 이공산(異攻散)이 되며, 이 처방에 다시 진피·반하를 더하면 원기가 모자라 담(痰)이 생기고 비장(脾臟)이 허약해져서 발생되는 고창(鼓脹: 복부가 마치 북과 같이 붓고 커지는 증상)을 치료하는 육군자탕(六君子湯)이 된다.

이밖에도 이 처방에 약재를 보태고 빼고 하여 만들어진 많은 처방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기본처방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제중신편(濟衆新編)』
『변증방약합편(辨證方藥合編)』
『증맥방약합편(證脈方藥合編)』
『국역만병회춘(國譯萬病回春)』(龔廷賢 저, 주갑덕 역, 계축문화사, 1977)
『현대방약합편(現代方藥合編)』(육창수, 계축문화사, 1976)
집필자
육창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