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군자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위장의 기능이 허약하여 빈혈의 경향이 있고 원기가 쇠약한 사람에게 사용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위장의 기능이 허약하여 빈혈의 경향이 있고 원기가 쇠약한 사람에게 사용되는 처방.
내용

식욕부진·구토·하리(下痢) 및 팔다리의 무력증·치질·탈항(脫肛)·유뇨증(遺尿症)·야뇨증(夜尿症)에도 응용한다.

이 처방은 중국의 『화제국방』에서 첫 기록을 보인 이래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제중신편』·『방약합편』 등 모든 의학서적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인삼·백복령·백출·감초 각 5g, 생강·대추로 구성되었고, 이 처방에다 진피를 더하면 비위(脾胃)의 기능을 조절하는 이공산(異攻散)이 되며, 이 처방에 다시 진피·반하를 더하면 원기가 모자라 담(痰)이 생기고 비장(脾臟)이 허약해져서 발생되는 고창(鼓脹: 복부가 마치 북과 같이 붓고 커지는 증상)을 치료하는 육군자탕(六君子湯)이 된다.

이밖에도 이 처방에 약재를 보태고 빼고 하여 만들어진 많은 처방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기본처방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제중신편(濟衆新編)』
『변증방약합편(辨證方藥合編)』
『증맥방약합편(證脈方藥合編)』
『국역만병회춘(國譯萬病回春)』(龔廷賢 저, 주갑덕 역, 계축문화사, 1977)
『현대방약합편(現代方藥合編)』(육창수, 계축문화사,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