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탕 ()

목차
의약학
개념
모든 혈병 및 월경 관련 증상에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모든 혈병 및 월경 관련 증상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빈혈·월경부조(月經不調)·하복견통(下腹堅痛)·태동불안(胎動不安)·산후 오로불하(惡露不下)·소변불리(小便不利)·변비·자궁출혈 등에 응용한다.

이 처방은 중국의 『화제국방(和劑局方)』에서 첫 기록을 보인 이래 『만병회춘』·『득효방』 등에서 보이고, 우리나라의 기록으로는 『동의보감』·『의문보감』·『제중신편』·『방약합편』 등 모든 의학서적에 인용되어 있다.

처방은 당귀·천궁·백작약·숙지황 각 5g으로 되어 있으며, 이 처방에다 인삼·백출·백복령·감초 각 5g을 보태면 기(氣)와 혈(血)을 보해주는 팔진탕(八珍湯)이 되고, 사물탕에 황금·황백·감초를 보태면 음허조열(陰虛燥熱)을 치료하는 삼황사물탕(三黃四物湯)이 된다.

이 처방은 혈병의 모든 증상을 치료하며, 한방처방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사용된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국역만병회춘(國譯萬病回春)』(龔廷賢 저, 주갑덕 역, 계축문화사, 1977)
『현대방약합편(現代方藥合編)』(육창수, 계축문화사, 1976)
집필자
육창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