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894년(진성여왕 8), 궁예가 단위 부대의 지휘관으로 임명한 무관직.
제도/관직
설치 시기
894년(진성여왕 8)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사상(舍上)은 894년(진성여왕 8)에 궁예가 단위 부대의 지휘관으로 임명한 무관직이다. 당시 궁예는 3,500명의 병력을 확보하였는데, 이를 14개 부대로 나누고 각 부대의 지휘관으로 사상을 두었다. 1개 부대를 25명씩 10조로 편성한 것이라면, 그것은 6세기 이래 역역과 군역 편성의 기본 원리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정의
894년(진성여왕 8), 궁예가 단위 부대의 지휘관으로 임명한 무관직.
내용

북원(北原: 지금의 강원도 원주시)의 반란적인 세력가 양길(梁吉)의 부하로 활약하던 궁예는 894년(진성여왕 8)에 명주(溟州: 지금의 강원도 강릉시)에 들어갔다. 당시 그의 병력은 3,500명이었는데, 이를 14개의 부대(部隊)로 나누고, 금대(金大) · 검모(黔毛) · 흔장(盺長) · 귀평(貴平) · 장일(張一) 등을 사상으로 삼았다. 사상은 부장(部長)을 일컫는 말이므로, 14개 부대의 장(長)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즉 사상은 궁예가 부대 조직을 갖추면서 임명한 단위 부대의 지휘관인 것이다.

이때 궁예는 사졸들에 의해 장군(將軍)으로 추대되었다. 장군은 본래 중앙의 고위 무관직이었지만, 신라 말에는 지방 호족들이 이를 칭하였다. 호족 밑의 촌주(村主)들은 장군 아래의 무관직인 대감(大監), 제감(弟監)을 칭하기도 하였다. 이 점에서 사상은 대감 혹은 제감에 대비될 수 있는 관직이지만 이곳 외에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한편 사상은 각 250명의 병력을 통솔하였다.

그런데 경상북도 영천시에 소재한 청제(菁堤)를 축조할 때 25명의 인원이 역역 편성의 기본 단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25명을 기초로 하는 조직 10단위씩을 1개 대(隊)로 삼아 1명의 사상이 지휘하도록 하였을 것이라고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 6세기 전반기에 적용되던 역역과 군역 편성의 기본 원리가 9세기 말까지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는 것이다.

‘사상’은 725년(성덕왕 24)에 만들어진 상원사 동종(上院寺銅鍾)의 명문에도 새겨져 있다. 일찍이 이를 관등으로 보는 설이 제기되었고, 신라 17관등 중 제13관등인 사지(舍知)에 비정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논문

김재홍, 「신라 통일기 범종의 명문 분석과 사회상: 상원사 범종의 명문을 중심으로」(『한국고대사연구』 68, 한국고대사학회, 2012)
조인성, 「태봉의 궁예정권연구」(서강대 박사학위논문, 1991;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2007)
하일식, 「신라 왕실 직할지의 초기 형태에 대하여: 청제비 병진명의 정밀판독과 분석」(『동방학지』 13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소, 200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