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의경험방 ()

목차
관련 정보
사의경험방
사의경험방
의약학
문헌
조선후기 이석간(李碩幹) 등이 질병에 대한 경험방과 서적을 인용하여 저술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이석간(李碩幹) 등이 질병에 대한 경험방과 서적을 인용하여 저술한 의서.
내용

1책. 필사본. 당시의 사의(四醫)였던 이석간·채득기(蔡得己)·박렴(朴濂)·허임(許任)의 경험방을 모으고, 그 밖에 『본초서(本草書)』·『동의보감(東醫寶鑑)』·『문견방(聞見方)』 등의 서적을 인용하여 후대인이 편집한 책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권두의 언해부(諺解付)에는 먼저 약물명, 즉 초(草)·목(木)·금(禽)·수(獸)·과(果)·채(菜)·소(蔬)·수(水)·화(火)·충(虫)·금(金)·인(人)·토(土)·석부(石部) 등 14항목으로 나누어 300여 종류의 생약(生藥)을 나열하였고, 그 아래에는 알기 쉽게 우리나라 말의 약명(藥名)을 부기하였다.

조(條)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기술하면, 두부(頭部)·이부(耳部)·목부(目部)·비부(鼻部)·구부(口部)·인후부(咽喉部)·흉부(胸部)·심부(心部)·견배부(肩背部)·요부(腰部)·신부(身部)·풍부(風部)·학질부(瘧疾部)·산부(疝部)·치질부(痔疾部)·이질부(痢疾部)·곽란부(藿亂部)·해수부(咳嗽部)·음식부(飮食部)·토부(吐部)·소갈부(消渴部)·한부(汗部)·창종부(瘡腫部)·잡병(雜病)·부인부(婦人部)·소아(小兒)·두창경험방(痘瘡經驗方)·저부(疽部) 등으로 일상 경험의 모든 병에 대하여 간단한 처방을 기재하였다.

이 책은 민간의방서로서 애용되었는데, 『경험방(經驗方)』·『본초서』·『동의문견방(東醫聞見方)』 등의 출전(出典)을 밝혀서 그 내용을 충실히 하였다. 또한 증목(症目: 증세)을 우리말로 해석하여 경험방의 고증과 그 지식을 대중화시키는 데 큰 공헌을 남겼다.

이 책은 비교적 사물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편술되었고, 임상(臨床)을 통하여 체험으로 익힌 실증적이고 살아 있는 의약의 전승(傳承)을 역력히 볼 수 있으며, 특히 300여 종류의 생약은 그 당시의 약에 대한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79)
『朝鮮醫學史及疾病史』(三木榮, 富士精版社, 196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