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홍서원 ()

목차
불교
개념
모든 중생을 교화하고, 번뇌를 끊고, 법문을 배워 최상의 불도를 이루겠다는 4가지 서원을 가리키는 불교교리. 총원.
이칭
이칭
총원(總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모든 중생을 교화하고, 번뇌를 끊고, 법문을 배워 최상의 불도를 이루겠다는 4가지 서원을 가리키는 불교교리. 총원.
내용

대승불교의 근본이 되는 원이며, 모든 보살(菩薩)이 다 함께 일으키는 원이라고 하여 총원(總願)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불교의식 및 법회의 시작에 삼귀의(三歸依:불·법·승 삼보에 돌아가 의지함.)를 하고 마지막으로 사홍서원을 외워 끝을 맺게 된다.

국가 및 종파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외우는 사홍서원은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이다.

중생무변서원도는 중생의 수가 한없이 많지만 모두를 교화하여 생사해탈의 열반(涅槃)에 이르게 하겠다는 것이고, 번뇌무진서원단은 다함이 없는 번뇌를 반드시 끊어서 생사를 벗어나겠다는 것이며, 법문무량서원학은 한량없는 법문을 남김없이 배워 마치겠다는 것이며, 불도무상서원성은 위없는 최상의 불도를 마침내 이루겠다는 맹세이다.

이들 네 가지 서원 첫머리의 중생·번뇌·법문·불도는 불교의 기본진리인 고(苦)·집(集)·멸(滅)·도(道)의 사제(四諦)와 대비를 시켜 구성한 것이라는 설도 있고, 앞의 하나는 이타(利他)의 원이고, 뒤의 셋은 자리(自利)의 원이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무변·무진·무량·무상한 것을 제도하고 끊고 배우고 이루겠다고 한 점이다. 실제에 있어서 배우고 배워도 한량이 없는 법문을 모두 배운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가없는 중생을 다 구하겠다는 것 또한 논리에 맞지 않는 것이다. 그렇지만 보살은 이와 같은 사홍서원을 세우고 그 서원을 이루기 위하여 노력한다. 왜냐하면 그 원을 이루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할지라도 그것이야말로 보살의 길이기 때문에 이들 원을 실천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불교학개론(佛敎學槪論)』(김동화, 보련각, 1980)
『불교(佛敎)와 사회(社會)』(이기영, 한국불교연구원,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