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중잡곡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김득연(金得硏)이 지은 시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김득연(金得硏)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모두 49수로 『갈봉유고(葛峯遺稿)』에 실려 있다. 이들 작품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제목 다음에 곁들여 적혀 있는 “가(歌)를 짓고 남은 뜻을 뽑아 내어 짧막한 마리들을 만들었노라(抽出歌中餘意 以爲短闋).”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여기서 가(歌)란 김득연 자신이 지은 장편 가사 『지수정가(止水亭歌)』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산중잡곡』은 그가 『지수정가』를 짓고 난 다음 남은 여러 가지 생각과 느낌을 시조라는 단가 형식에 담아서 읊조린 작품이다.

내용

구체적으로 『산중잡곡』 49수의 내용은 ① 물외한인으로 자연 속을 우유하는 작자의 생활 태도, ② 시문과 사장에 대한 생각을 적은 것, ③ 인생의 덧없음과 몸이 늙었음을 탄식한 것 등 여러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작품은 평시조의 형태를 충실하게 취했다. “용산(龍山)에 봄비 개니 고사리 채 ᄉᆞᆯ○다/석침(石枕)에 송풍(松風)이 부니 ᄌᆞᆷ이 절로 ○다/아ᄒᆡ야 ○므로 달혀라 번못기다려 ᄒᆞ노라.”

그러나 그 가운데는 일반 평시조에서 상당한 거리를 가진 작품도 있다. “히히히 ᄯᅩ 히히히히/이러도 히히히히 저러도 히히히히/ᄆᆡ양에 히히히히ᄒᆡ니 일일마다 히히히히로다.” 이것은 크게 보면 평시조의 3장6구 형식을 대체로 지킨 작품이나, 그 어투는 여느 양반 시조들과는 상당히 다르다.

한편, 여기에 포함된 대부분의 작품들에는 한문 성구가 꽤 빈번하게 나온다. “생애는 수경백발(數莖白髮), 심사는 일편청산(一片靑山)/설월풍화(雪月風化)애 사시가흥(四時佳興) 다 ᄀᆞ잣다/이외에 즐거온 일이 ᄯᅩ 업ᄉᆞᆯ가 ᄒᆞ노라.”, “솔아래 길ᄒᆞᆯ내고 꼿우희 ᄃᆡ를 ᄉᆞ니/풍월연화(風月烟火)는 좌우로 오ᄂᆞᆫ고야/이 ᄉᆞ예 한가히 안자 늘ᄂᆞᆫ 줄을 모ᄅᆞ리라.”

의의와 평가

대체로 『산중잡곡』은 우리말의 맛을 잘 살려서 쓴 것이라기보다는 그 시상(詩想) 또는 상상력에서 볼 만한 단면을 드러낸다. 그런 점에서 다음의 작품 한 수 “버지오마 커ᄂᆞᆯ 솔길ᄒᆞᆯ 손소쓰니/무심(無心)ᄒᆞᆫ 백운(白雲)은 쓸소록 고쳐 난다/져 백운아 동문(洞門)을 ᄌᆞ모지 마라 올길 모ᄅᆞᆯ가 ᄒᆞ노라.”는 시조사에서 가작(佳作)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참고문헌

「지수정가(止水亭歌)의 작자(作者)와 작품(作品)」(김용직, 『한국문학의 흐름』, 문장사,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