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단 등단은 8·15광복 직후 김윤성(金潤成) · 구경서(具慶書) 등과 함께 동인지 『백맥(白脈)』을 발간함으로써 이루어졌으나, 본격적인 활동은 195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 「멸입(滅入)」이 당선된 뒤부터이다. 1958년 제1시집 『카오스의 사족(蛇足)』에 이어 다음해 제2시집 『여백을 위한 서정』을 발간하였다.
이 무렵 그의 시의 주조가 되고 있는 것은 바람이나 꽃 · 계절 · 산이나 시내 등 자연을 소재로 한 가운데 따뜻한 인간의 눈길이나 정을 곁들여서 읊조린 정신자세로 시 「바람 속에서」는 이러한 경우의 좋은 보기로 생각되는 작품이다. 그 뒤 그의 시는 일상적인 생활에 평범한 인간의 정을 실어 읊는 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이러한 세계를 담은 작품을 수록한 것이 『아가의 방』(1970) · 『새벽』(1975) · 『사랑 시편(詩篇)』(1983) · 『아가의 방 별사(別詞)』(1983) · 『나비의 여행』(1983) · 『원점에 서서』(1989) 등이다.
시인으로서의 활약 이외에도 대학 교수로서 문학 연구에 끼친 공적으로는, 1956년 5월부터 12월에 걸쳐 『문학예술』에 발표한 「문체로 본 동인(東仁)과 효석(孝石)」, 1964년 12월호 『문학춘추(文學春秋)』를 통하여 발표한 「김영랑론(金永郞論)」 등이 있다.
이들 문학 연구와 시론에 해당되는 글들은 뒤에 『현대작가연구』(1959) · 『한국현대시학사』(1974) 등으로 공간되었다.
또하나의 뚜렷한 발자취로 기록되어야 할 것이 교육자로서, 그리고 문화행정가로서의 단면이다. 교육분야에서 그는 방송통신대학이 설립, 운영되자 학장으로 취임하여 기구확충, 교과목 내용 개편, 강의 운영의 개선에 힘썼다. 한국시인협회에도 관계하여 한때 사무국장을 맡았고, 이어 그 회장으로 추대된 바 있다.
또한 제3대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으로 취임하여 문학예술 지원사업을 관장한 바 있다. 예술원 정회원,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한국비교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1988년 문화공보부 장관이 되었다. 장관 퇴임 후에는 잡지간행윤리위원회 이사장으로 일한 바 있다.
특히, 문화공보부 장관 재임 때에는 그 동안 남쪽에서 작품들의 공간과 논의가 금지되어온 월북 및 납북 문학예술인들을 해금한 「납 · 월북 문인에 대한 해금조치」를 입안, 공포하여, 남쪽에서나마 한국 문단의 벽을 제거하는 데 공헌하였다.
한국시인협회상(1971) · 서울특별시문화상(1983) · 대한민국예술원상(시부문, 1987)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