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천굿 (굿)

목차
관련 정보
함경도 망묵굿 / 산천굿
함경도 망묵굿 / 산천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함경남도 함흥 지방의 망묵굿에서 행하는 굿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함경남도 함흥 지방의 망묵굿에서 행하는 굿거리.
내용

팔도의 명산대천에 기도하여 망자(亡者)의 사후 안주와 그 유족의 길복을 비는 거리이다. 산천굿은 주로 무당이 혼자 장구를 치면서 말과 노래로 「붉은 선비와 영산각시」 무가를 부르는 것으로 구성된다.

「붉은 선비와 영산각시」는 설화적인 무가인데 함흥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조사된 바 없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글공부하던 붉은 선비가 집에 돌아오는데, 맑은 샘물을 마시지 말고 머루와 다래를 따먹지 말고 악수가 쏟아져도 피하지 말고 천년고목이 타고 있어도 그 불을 끄지 말라는 서인의 말을 모두 어겼다.

천년고목의 불을 끄자 젊은 여인이 나와 재주를 넘고는 큰 대맹이(대망)이가 되어 잡아먹으려 하였다. 이유를 묻자, 대맹이는 죄를 짓고 쫓겨난 천상의 선녀인데 맑은 물, 머루, 다래를 먹고 승천하려했던 것을 붉은 선비가 방해하였다는 것이다.

붉은 선비는 부모님을 뵙고 오는 길에 잡혀먹힐 것을 약속하고 집에 돌아왔다. 부인 영산각시가 그 말을 듣고 대맹이를 만나 남편없이 살 길을 마련해달라고 하자 무엇이든 원하는 대로 해주는 보물이라면서 구슬 하나를 주었다.

영산각시는 그 구슬을 들고 대맹이를 향하여 ‘너 죽어라.’ 했더니 대맹이가 죽었다. 영산각시는 대맹이를 불태우고 그 재를 팔도에 뿌려 백두산· 금강산·삼각산 등 명산대천과 여러 사물을 만들고, 사람으로 하여금 기도하여 길복을 얻게 하였다는 것이다.

산천굿을 할 때는 8개의 소반을 차리는데 이는 팔도명산에 바치는 것이고, 영혼을 극락을 가더라도 뼈는 명산에 묻혀야 된다는 내용의 무가가 따른다.

참고문헌

『함경도망묵굿』(임석재·김수남, 열화당, 1985)
『重要無形文化財指定資料(중요무형문화재지정자료), 관북지방무가(關北地方巫歌)』(임석재·장주근, 196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