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한구락부 ()

목차
근대사
단체
1910년대 초 일본 동경(東京)에서 조직되었던 유학생단체.
이칭
이칭
조선유학생총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10년대 초 일본 동경(東京)에서 조직되었던 유학생단체.
내용

1910년 한국이 일제에 강점당한 뒤 동경유학생들의 중심연락기관이었던 대한흥학회(大韓興學會)가 해산당하여 유학생들은 통합된 학생기구가 없어 불편을 겪고 있었으며, 일제당국에 연락기구설치를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의 대안으로 고안해낸 것이 국내 각 도단위의 친목단체였다. 그리하여 경기도와 충청남북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 이 단체를 조직하였다. 그 밖에 전라남북도를 대표하는 호남다화회(湖南茶話會) 등 7개 단체가 있었다. 이러한 친목단체에 간사를 두고 1912년 4월 초대간사장에 김병로(金炳魯)를 선출하였다.

이들은 그동안 각 도별로 연락기관을 설치한 뒤 활동하다가, 조선유학생총회에 흡수되었다. 이 총회의 초대회장에는 삼한구락부에도 관계를 맺고 있던 정세윤(鄭世胤)이 선출되었다. 이는 대한흥학회가 철폐된 지 3년만의 일로 모든 유학생기구가 다시 재건된 셈이었다.

참고문헌

『항일학생민족운동사연구(抗日學生民族運動史硏究)』(정세현, 일지사, 1975)
『最近における朝鮮治安狀況 1933』(朝鮮總督府警務局 編, 巖南堂書店, 1982)
『조선민족독립운동비사(朝鮮民族獨立運動祕史)』(坪江汕二, 巖南堂書店, 1966)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