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례편람 ()

상례편람 / 각설찬의도설
상례편람 / 각설찬의도설
가족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정주가 상례와 제례에 관한 내용을 엮어 1831년에 편찬한 예서.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정주가 상례와 제례에 관한 내용을 엮어 1831년에 편찬한 예서.
편찬/발간 경위

김정주의 서문에 의하면 1829년(순조 29)에 착수하여 1831년에 완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사본은 1869년(고종 6)에 필사한 것이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이 책은 신의경(申義慶)이 편찬하고 김장생(金長生)과 김집(金集) 부자간에 증보, 교정해서 간행한 『상례비요(喪禮備要)』가 의문스러운 예절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고, 참고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에 상례와 제례의 중요한 항목을 설정하여, 여러 학자의 해설을 주석으로 달아서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편찬한 것이다.

제1권에 초종(初終)·성복(成服)·오복(五服)·상상(殤喪)·강복(降服)·조(弔)·분상(奔喪)·치상(治喪)·제주(題主)·우제(虞祭)·졸곡(卒哭)·답소(答疏), 제2권에는 부제(祔祭)·소상(小祥)·대상(大祥)·담제(禫祭)·길제(吉祭)·체장(遞葬)·개장(改葬)·사당참례(祠堂參禮)·시제(時祭)·기제(忌祭)·묘제(墓祭)·개사초의(改莎草儀)·구석물고묘의절(具石物告墓儀節) 등으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은 항목을 설정하고 그 아래에 『가례(家禮)』·『예기(禮記)』와 이황(李滉)·김장생·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권상하(權尙夏)·이재(李縡)·임성주(任聖周) 등의 예설을 주석으로 달고 있다. 그리고 관계항목에 정침시제도(正寢時祭圖)와 각 설찬(設饌)의 도설(圖說)을 붙이기도 하였다.

종래의 상례·제례 관계의 해설서에 비하여 더 잘되었다고는 볼 수 없지만, 이전의 것이 주자(朱子)의 『가례』의 항목에 국한해서 항목을 설정한 것에 비하여, 실용적인 항목순으로 편차(編次)하면서 우리나라의 유명한 관계 예설을 주석하여 좋은 참고자료가 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황원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