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회답곡 ()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구성 및 형식

2음보 1구로 헤아려 모두 72구이며, 4·4조와 3·4조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어렸을 적부터 함께 자라 출가한 여성을 연모하여 상사병에 걸린 남성의 편지에 회답하는 노래이다.

내용

내용은 여자의 몸으로 불갱이부(不更二夫)를 철석같이 믿고 있는데 편지를 보내옴에 당황한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그런 마음 가졌으면 어찌하여 잠잠한고, 다른 곳 가기 전(前)에 무심(無心)히 있지말고”라면서, 시집가기 전에 말을 왜 못하고 상사병이 들었나를 탓하고 있다. 그러나 “백년(百年)을 못 살거든 남의 명(命)을 끊게 하랴” 하면서 만나줄 것을 약속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노래는 「상사별곡(相思別曲)」·「고상사별곡(古相思別曲)」·「규수상사곡(閨秀相思曲)」 등의 상사곡류에 대한 답신으로 추측되며, 유부녀가 외간남자를 만나면 안 된다는 기성도덕이나 윤리보다는 인간본위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참고문헌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김성배 외, 정연사, 1961)
『가사집(歌詞集)』(우현기 편, 중앙인서관, 193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