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2책. 석인본. 1946년 손자 두석(斗碩)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홍락(金鴻洛)의 서문과 권말에 한덕련(韓德鍊)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306수, 시조 13수, 권3에 서(書) 12편, 권4는 잡저로 설(說) 6편, 자경(自警)·가훈·유계(遺戒) 각 1편, 서(序) 4편, 기(記) 1편, 잠(箴) 14편, 상량문 2편, 제문 3편, 권5는 부록으로 유사·행장·묘갈명·묘지명·묘표·후서(後敍) 각 1편과 소지(小識) 5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개 영물(詠物)과 자연 서경 및 감회를 읊은 것이 대부분인데, 시격이 전아하고 기법이 충실하다. 시조는 은거구도(隱居求道)하는 심경을 읊은 것으로 조선 말기 시조의 전형적 성격을 띠고 있다.
서(書) 중 「답낙육재제생문목(答樂育齋諸生問目)」은 문생들의 질의에 답한 것인데, 태극설(太極說), 고자(告子)의 성설(性說),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의 학설 등에 대해 논리정연하게 변석하고 있다.
잡저의 「무극이태극설(無極而太極說)」은 공자(孔子)가 태극의 표준을 세운 것과 주돈이(周敦頤)가 무극의 온오(蘊奧)함을 논한 부분을 중심으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