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골 유적 (샘골 )

목차
관련 정보
청원 샘골 유적 출토 수정긁개
청원 샘골 유적 출토 수정긁개
선사문화
유적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에 있었던 석기시대 구석기의 뗀석기 관련 유물산포지. 유물포함층.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에 있었던 석기시대 구석기의 뗀석기 관련 유물산포지. 유물포함층.
내용

문덕리가 대청댐 수몰지역에 포함됨에 따라 1978년 충북대학교 박물관에서 구제발굴을 실시하였다.

샘골의 얕은 대지 위에 있었던 유적의 층위는 표토층(1층) 밑에 부토층(腐土層, 2층), 모래진흙층(3·4층), 굳은진흙층(5층)으로 구분되었으며, 구석기시대의 뗀석기들은 3·4층에서 출토되었다.

뗀석기는 몸돌석기와 격지석기가 서로 반반이었으며, 석재(石材)는 석영암질이 대부분이고, 암질의 성격은 모난돌이 제일 많다. 석영암은 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것으로, 특별히 석기를 만들기 위하여 다른 곳에서 가져다 쓴 것으로 여겨진다.

뗀석기에는 새기개의 수정연모와 배밑모양석기도 보이며, 이들 석기의 제작에는 오리냐시앙(Aurignacien)의 잔손질수법과 간접떼기가 많이 쓰였다. 한편, 작은 긁개와 밀개가 전체유물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있는 사실은, 이 석기의 기능과 쓰임새로 볼 때 작은 짐승의 껍질을 벗기는 행위가 이루어졌을 개연성을 말해준다.

뗀석기는 대부분 약간씩 쓰인 흔적만 남아 있고, 이것들이 출토된 문화층은 얇게 퇴적되어 있어 이 지역의 구석기인들은 잠깐 동안 살다 이주해 간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된 얼굴 조각품은 기원적(祈願的)인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의의와 평가

앞에서 살펴본 유적의 지층과 석기의 구성·형태·제작수법 등을 종합하여 보면, 샘골유적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유적인 공주 석장리의 새기개·밀개문화층과 같은 시기의 문화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한국선사문화의 연구』(이융조, 평민사, 1980)
「청원 샘골 구석기유적」(이융조,『대청댐수몰지구유적발굴보고서』, 충북대학교 박물관, 197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융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