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매잡아 (매잡아)

목차
국악
작품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불렀던 휘몰이잡가 중 한 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불렀던 휘몰이잡가 중 한 곡.
내용

“생매잡아 길 잘들여……”로 시작하는 사설에서 곡명이 유래했는데, 노래의 내용은 여름날 천렵(川獵)하는 재미를 읊은 것이다.

음악적 특징은 여타의 휘모리 잡가와 마찬가지로 솔·라·도·레·미로 된 경기민요의 음계에 잦은타령(일명 볶는타령)의 장단을 가진다. 그러나 리듬은 2박과 3박이 사설에 따라 불규칙하게 엮어지고 있다. 「생매잡아」의 사설은 다음과 같다.

생매잡아 길 잘 들여 두메로 꿩사냥 보내고

쉰말 구불굽통 갈기 솔질 솰솰하여

뒷동산 울림송정(鬱林松亭)에 말뚝 쾅쾅 박아

참바 집바 비사리바는 끊어지니 한발 두발

늘어나는 무대 소바로 매고

앞내 여울 고기 뒷내 여울 고기 오르는 고기

내리는 고기 자나 굵으나 굵으나 자나

주엄 주섬 얼른 냉큼 수이 빨리 잡아내어

움버들가지 지끈 꺾어 잎사귀 주루룩 훑어

아가미는 실꿰어 앞내 여울 잔잔 흐르는 물에

넙적실죽 네모진 큰 청석 바둑돌을 마침 가졌다

아무도 몰래 장단 맞춰 지근지근 지질러 놓고

동자야 어디서 날 찾는 손 오거든

네 먼저 나가 통속 보아 딸 손님이건 떡메로

후리고 아니 딸 손님이면 그물 막대 파리 밥풀 지렁이

쌈지 종기 종다래끼 깻묵 주머니 앉을 방석

대깨칼 초친 고치장 가지고 뒷 여울로.

이와 같은 사설은 고종 때의 시조집인 『가곡원류』의 여창 「농(弄)」의 사설(생ᄆᆡ잡아 깃 ᄯᅳ려 두메 꿩 산양 보ᄂᆡ고……)과 비슷한 점이 있어, 사설면에서 보면 시조와의 관련성을 짐작하게 한다. 그러나 음악적인 특징이나 이 음악을 불러왔던 소리꾼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경기민요와 상관성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

참고문헌

『한국가창대계(韓國歌唱大系)』(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가곡원류』(박효관·안민영, 아세아문화사, 1973)
『국악논고(國樂論攷)』(장사훈,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뿌리깊은나무 팔도소리 -경기도-』(한국브리태니카, 1984)
「휘모리잡가의 지향」(전계영, 『우리어문연구』 41권, 우리어문학회,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