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등왕각서
등왕각서
한문학
개념
사물의 발단과 끝맺음을 서술하는 한문문체. 서문 · 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사물의 발단과 끝맺음을 서술하는 한문문체. 서문 · 서.
내용

『이아(爾雅)』에는 “서(序)는 실마리(서 緖)이니, 글자를 서(敍)로도 쓴다.”고 하였는데, 즉 사리(事理)를 잘 서술하여 차례의 정연함이 마치 실의 오리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서에는 서서(書序) · 후서(後序) · 송서(送序) · 증서(贈序) · 수서(壽序) · 명서(名序) · 자서(字序) 등이 있다.

서서는 책의 머리에 붙는 책의 서문으로 그 책이 이루어진 시말을 기술한 것이다. 『모시(毛詩)』의 대서(大序) · 소서(小序)와 『상서(尙書)』의 서서가 그 원조이다.

후서는 책 뒤에 붙는 것이다. 발(跋) 또는 서후(書後)와 성질이 같은 것이다. 그러나 발 · 서후에 비해 비교적 길고 자세한 것이 특징이다.

송서는 남과 이별할 적에 이별의 아쉬움이나 풍자 · 교훈의 뜻을 붙여 적는 글이다.

증서는 당대(唐代)에 비롯된 것으로,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적어주는 글이다. 옛사람들은 친척이나 친구 또는 문인이 먼길을 떠나가면 시가(詩歌)를 지어 이별의 뜻을 나타내었다. 사연이 많아져서 별도의 문장으로 그 연유를 서술하였으므로 처음에는 서 · 발이나 다름이 없었다.

후대에 와서는 증시(贈詩)는 하지 않고 증언(贈言)만으로 짓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오로지 남에게 주기 위해 지은 글을 증서라 하였다. 이 송서와 증서는 당나라의 문장가 한유(韓愈)의 글 중에 좋은 것이 많다. 「송정상서서(送鄭尙書序)」 · 「증최복주서(贈崔復州序)」 등이 특히 유명하다.

수서는 남의 수명을 축복하는 글이다. 송말(宋末)에 발생하여 명대(明代) 중엽 이후 성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많이 쓰고 있다. 명서와 자서는 이름이나 자가 지어진 배경을 적는 글이다. 대체로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송나라 진사도(陳師道)의 「진소유자서(秦少游字敍)」가 유명하다. 위에 예로 든 것 이외에도 건물이나 모임의 배경을 소재로 지은 것도 있다. 당나라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나 이백(李白)의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등이 유명하다.

묘지명 · 신도비명 등에도 서가 있다. 당사자의 경력 · 행적 등을 서술하고 뒤에 명(銘)을 붙이는 것이 통례이다. 이 때 문체의 이름은 아니지만 ‘서를 아울러 쓴다.’는 뜻으로 병서(幷序)라 적고 있다.

참고문헌

『문체명변(文體明辨)』(서사증)
『고문진보(古文眞寶)』(황정견)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정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