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환 ()

서장환
서장환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상의회를 조직해 독립운동과 의병가족돕기운동을 전개하였고, 임시정부 독립공채 모집위원으로서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0년(고종 27)
사망 연도
1970년
출생지
대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상의회를 조직해 독립운동과 의병가족돕기운동을 전개하였고, 임시정부 독립공채 모집위원으로서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대구광역시 달성구 출신으로, 서광용(徐光容)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0년 8월 이재희(李在熙)와 진주의병대장 노응규(盧應奎)의 아들 노수덕(盧修德) 등과 비밀결사 상의회(商議會)를 조직, 아버지 서광용과 김기홍(金箕鴻) 등이 희사한 기금 약 8,000원으로 독립운동과 의병가족돕기운동을 전개하였다.

1917년 9월 상해(上海)와 만주에 이현수(李賢壽)·노수덕을 파견, 이시영(李始榮) 등과 연락을 취하고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해 보내 주었다. 1919년 3·1운동 때는 향리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했고, 대구 재전당서포(在田堂書鋪) 출판부에 재직하면서 3·1독립선언서와 구호를 인쇄해 군중에게 배포하다 대구경찰서에서 모진 고문을 받았다.

1920년 8월 임시정부 내무부 비서 정해민(鄭海珉)으로부터 임시정부 독립공채모집위원(獨立公債募集委員) 등의 임명장을 받고 공립공채 1,000원을 포함한 약 5,500원을 모금, 이를 정해민을 통해 임시정부에 보냈다.

이와 동시에 대구 재전당서포와 정팔진(丁八鎭)의 집을 근거지로 하고 임시정부 포고문과 일본인 및 관헌에 대한 경고문 등 수십 종의 독립운동 관계 인쇄물을 유인, 배포하였다.

1921년 10월에는 이현수와 같이 등사본 통신문 형식의 지하신문 『자유신보(自由申報)』를 발간, 각 언론기관에 보내는 등 독립운동을 홍보하는 데 노력하였다. 영문판까지 발간하여 외국인에게 일제의 야만적 식민 통치 사례를 폭로, 규탄하였다.

한국독립청원서를 만들어 미국 선교사를 통해 화부(華府)에서 개최하는 세계군축회의인 태평양회의에 전달하기도 하였다. 물론 이의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비참하게 탄압받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세계 자유인에게 홍보하는 성과는 거둘 수 있었다.

1923년 1월 10일에 붙잡혀서 혹독한 고문을 받았으나 증거불충분으로 석방되었다. 그 뒤 여러 번 상해로 망명하려 했으나 일본 경찰의 감시가 심해 떠나지 못했다. 결국 계룡산으로 피신, 동흥의숙(東興義塾)을 세워서 교육 구국운동을 전개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대한민국임시정부사』(이현희, 집문당, 1982)
『高等警察要史』(慶尙北道警察部, 1934)
『동아일보(東亞日報)』
『조선일보(朝鮮日報)』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