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시첩 ()

목차
관련 정보
설교시첩
설교시첩
조선시대사
문헌
국가유산
조선시대 문신 김상헌 · 조한영이 옥중에서 주고받은 시집. 시첩.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설교시첩(雪?詩帖)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필사본/고본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7년 01월 09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98 (상대동, 대전시립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김상헌 · 조한영이 옥중에서 주고받은 시집. 시첩.
내용

1997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책(29장), 규모는 가로 32㎝×세로 34.5㎝이다.

병자호란 때 척화신으로 지명되어 청나라에 잡혀간 김상헌이 심양(瀋陽)에서 옥고 6년 동안 첫 번째로 펴낸 친필시 중, 함께 옥고중인 조한영(曺漢英, 1608∼1670)과 수창한 시이다. '설교(雪窖)'란 눈 쌓인 움막이라는 뜻으로 타국에 억류되어 고생한 것을 의미한다.

모두 43종으로 5언과 7언으로 된 절구와 율시가 주로 조한영에게 보낸 것이다. 심양 8경을 시작으로 대부분 옥중생활의 심회를 밝힌 내용이다.

김상헌의 나이 72세(조한영 35세) 때의 시로 당시 『설교수창집(雪窖酬唱集)』의 제목으로 조한영이 지은 시와 함께 김상헌의 서문을 받은 뒤에 펴냈다. 여기에는 일차로 펴낸 『설교집』 289수 가운데 조한영에게 보낸 시 43종과 뒤에 다른 인물의 글씨로 된 몇 편이 첨부되었다.

김상헌의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자는 숙도(叔度)이고, 호는 청음(淸陰) · 석실산인(石室山人)으로 벼슬이 좌의정에 오르고, 청백리(淸白吏)에도 뽑혔다. 이 시문에는 서간노인(西磵老人) · 풍산노인(豊山老人)의 호를 썼고, 다만 동궁(東宮)의 사주(賜酒) 때에 지은 시에만 김상헌이라 하였다.

김상헌의 옥중 시(71세∼77세)는 이 외에 『설교후집(雪窖後集)』 102수와 『설교별집』 118수가 『청음집』에 수록되었다. 그러나 여기에 있는 첫 번째 『설교집』 43종 중에는 『청음집』에 들어 있지 않은 시가 10여 종이고, 더러는 문집과 다른 구절도 발견되어 『설교집』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청음집』은 40권 14책으로 이미 간행된 것을 1977년 조용승(曺龍承)이 유집(遺集) 9권 필고(筆稿)를 보완해 영인본의 『청음전집』을 펴낸 바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