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매리 겹집 ( 겹집)

목차
관련 정보
봉화 설매리 겹집
봉화 설매리 겹집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에 있는 조선후기 까치구멍집 형태의 주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설매리겹집(雪梅里겹집)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94년 09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북 봉화군 상운면 설매2길 39 (설매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에 있는 조선후기 까치구멍집 형태의 주택.
내용

1994년 경상북도 민속자료(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안동에서 봉화 가는 국도를 따라 북상하다 구천(九川)리를 지나 새마에서 서쪽으로 꺾여 2㎞ 가량 들어가면 설매리 큰 마을이 있다.

북쪽 옥녀봉(해발 75m)에서 서남향으로 흘러내린 산줄기가 말발굽 형상으로 감싼 곳에 자리잡았고 남쪽에 개울이 흐르고 있다.

이 집은 서쪽 산줄기를 의지하고 동향하였다. 약 300년 전에 윤담이라는 이가 들어와 짓고 살았고, 후에 밀양 박씨가 이사와 지금까지 살고 있다고 한다.

1982년 조사 시 73세 되는 노모를 모시고 3대째 살고 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150여 년 전에 건축되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목재들이 비교적 후하고 도끼로 다듬어 마감한 솜씨가 세련된 점으로 숙달된 기능인들이 있던 시기로 올려 보는 것이 합당하겠다.

이 집은 평면 구성에서 까치구멍 집의 보편적인 구비 여건을 갖춘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그보다 평면을 활달하게 전개해 또 다른 유형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모채라 하는 모방(안방의 한 모퉁이에 있는 작은 방)ㆍ정지ㆍ뒤주가 있는 부속 건물과 안채가 있다.

겹집의 안채는 정면 4칸 반 측면 2칸 규모인데 기둥과 상관없이 벽체를 설치하는 대담성을 발휘하였다. 좌측에서 두 번째 칸에 대문이 있고 들어가면 부엌과 이어지는 봉당이다. 봉당과 부엌이 1칸 반, 그로 인해 안방의 넓이도 1칸 반이 되고 우측 끝에 방에 부설된 벽장이 있다.

봉당 좌측은 1칸의 외양간이고 그 뒤편이 사랑방이다. 쇠죽 끓이는 가마솥에서 땐 불이 사랑방을 따뜻하게 한다. 봉당과 정지의 뒤편, 사랑방에서 안방에 이르기까지가 마루 깐 시설인데, 안방 뒤편 1칸은 벽체를 설치해 고방을 만들었고 그 외 나머지가 대청이다. 이런 대청의 존재는 까치구멍 집에서는 볼 수 없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뒷마당에 장작더미가 쌓여 있고 앞에 짚더미도 있다. 농사를 제법 짓는 집이란 의미가 되겠다. 방은 고미반자, 지붕 밑 더그매(지붕과 천장 사이의 공간)가 수장 공간이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94)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