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매리 겹집 ( 겹집)

목차
관련 정보
봉화 설매리 겹집
봉화 설매리 겹집
주생활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에 있는 조선후기 까치구멍집 형태의 주택. 시도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에 있는 조선후기 까치구멍집 형태의 주택. 시도민속문화재.
내용

1994년 경상북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안동에서 봉화 가는 국도를 따라 북상하다 구천(九川)리를 지나 새마에서 서쪽으로 꺾여 2㎞ 가량 들어가면 설매리 큰 마을이 있다.

북쪽 옥녀봉(해발 75m)에서 서남향으로 흘러내린 산줄기가 말발굽 형상으로 감싼 곳에 자리잡았고 남쪽에 개울이 흐르고 있다.

이 집은 서쪽 산줄기를 의지하고 동향하였다. 약 300년 전에 윤담이라는 이가 들어와 짓고 살았고, 후에 밀양 박씨가 이사와 지금까지 살고 있다고 한다.

1982년 조사 시 73세 되는 노모를 모시고 3대째 살고 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150여 년 전에 건축되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목재들이 비교적 후하고 도끼로 다듬어 마감한 솜씨가 세련된 점으로 숙달된 기능인들이 있던 시기로 올려 보는 것이 합당하겠다.

이 집은 평면 구성에서 까치구멍 집의 보편적인 구비 여건을 갖춘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그보다 평면을 활달하게 전개해 또 다른 유형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모채라 하는 모방(안방의 한 모퉁이에 있는 작은 방)ㆍ정지ㆍ뒤주가 있는 부속 건물과 안채가 있다.

겹집의 안채는 정면 4칸 반 측면 2칸 규모인데 기둥과 상관없이 벽체를 설치하는 대담성을 발휘하였다. 좌측에서 두 번째 칸에 대문이 있고 들어가면 부엌과 이어지는 봉당이다. 봉당과 부엌이 1칸 반, 그로 인해 안방의 넓이도 1칸 반이 되고 우측 끝에 방에 부설된 벽장이 있다.

봉당 좌측은 1칸의 외양간이고 그 뒤편이 사랑방이다. 쇠죽 끓이는 가마솥에서 땐 불이 사랑방을 따뜻하게 한다. 봉당과 정지의 뒤편, 사랑방에서 안방에 이르기까지가 마루 깐 시설인데, 안방 뒤편 1칸은 벽체를 설치해 고방을 만들었고 그 외 나머지가 대청이다. 이런 대청의 존재는 까치구멍 집에서는 볼 수 없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뒷마당에 장작더미가 쌓여 있고 앞에 짚더미도 있다. 농사를 제법 짓는 집이란 의미가 되겠다. 방은 고미반자, 지붕 밑 더그매(지붕과 천장 사이의 공간)가 수장 공간이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94)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신영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