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수성리 중매댁 ( )

목차
관련 정보
성주 수성리 중매댁
성주 수성리 중매댁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에 있는 대한제국기 안채 · 사랑채 · 대문간채 · 고방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성주수성리중매댁(星州水成里中梅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9년 05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한강길 29 (수륜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에 있는 대한제국기 안채 · 사랑채 · 대문간채 · 고방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내용

1989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재철(鄭在哲)이 1903년(광무 7)에 지은 살림집으로, 안채 · 사랑채 · 대문간채 · 고방채가 현존해 있다. 집이 완성되기까지 12년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그러한 정황은 묵서된 상량기문에서 알 수 있는데, 안채 · 사랑채 · 대문간채는 1903년에 상량했고, 고방채는 1911년에 창건하고 이듬해에 중건(重建)했으며, 안대문채는 1915년에 상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안채는 면이 고운 화강석 다석켜의 높은 댓돌 위에 방형 주초에 모기둥을 세운 민도릿집이다. 평면 구성은 T자형인데 안방에 이어 찬방을 돌출시켜 변형이 생겼지만, 이 점이 이 집의 특색이라 하겠다. 대청 2칸, 좌측에 안방 · 부엌 · 찬방이, 우측엔 건넌방 · 갓방 · 작은 부엌 순으로 자리했다.

사랑채 평면은 2칸이 넘는 긴 부엌을 중심으로 우측에 2칸통 사랑방과 마루가 계속되며 앞에 툇마루가 있고 뒤쪽으로는 뒷방과 툇마루가 있고 마루 우측 뒤로 반 칸 규모의 감실(사당 안에 신주를 모셔 두는 장)을 두어 사당 기능을 하게 하였다. 대신에 사당을 건립하지 않았다.

부엌 좌측엔 칸 반 규모의 중사랑방, 전면에 툇간(집채의 원칸살 밖에 딴 기둥을 세워 붙여 지은 칸살), 반 칸 크기의 책방이 있어 부엌은 안마당 쪽으로만 개방되었다. 이로 인해 중문칸이 따로 생겼다.

부엌 앞쪽을 막은 예는 1905년에 건축된 둔산동 경주최씨 종가, 1920년경의 봉화 해저리 김씨댁 등의 건물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1900년대의 시대상이 반영된 예라 할 수 있다.

고방채는 방형 4칸의 고방을 중심으로 좌측에 마구간과 뒤주가 각 1칸, 우측에 방앗간과 헛간이 있다. 판벽한 뒤주 뒤편에 내측(內厠)이 있고 주변에 돼지우리, 장작 쌓는 자리, 모탕(나무를 패거나 자를 때에 받치는 나무 토막)과 도끼들이 있어 옛 정취를 풍긴다.

우진각 지붕의 4칸 대문채는 대문칸의 우측에 행랑방 2칸, 좌측에 마구간 1칸이 있고 마구간 좌측 처마 밑으로 외측(外厠)이 있는데, 낮은 담으로 가려서 사랑채에서의 시선을 피하였다. 20세기 초의 살림집을 보여주는 한 예로, 학술적 가치가 인정된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8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