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함 ()

목차
민속·인류
개념
정초에 주인이 없을 때 찾아온 하례객이 방문한 사실을 알리기 위해 적어놓은 명부. 방명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정초에 주인이 없을 때 찾아온 하례객이 방문한 사실을 알리기 위해 적어놓은 명부. 방명록.
내용

지금의 방명록(芳名錄)과 유사하다. 백지로 만든 책과 붓·벼루만 책상 위에 비치해두면 하례객이 와서 이름을 적었다.

설이 되면 일가 친척을 찾아다니면서 세배를 하기 위해서 젊은이들은 집을 비우고 노인과 부녀자는 집을 지키게 된다. 그 사이에 다른 손님이나 손아랫사람들이 세배를 하기 위해서 찾아오는 수도 있으나, 주인이 없어서 세배를 못하고 되돌아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찾아온 표시를 해놓아야 주인이 돌아와서 집 비운 사이에 누가 다녀갔는지 알 수가 있다. 그래서 집을 비우고 나설 때에는 문밖에 지필묵(紙筆墨)을 놓아 두면 세배를 하러왔다가 되돌아가는 사람들은 제각기 이름을 적어두고 간다.

옛날에는 오늘날처럼 명함이 따로 없으므로 세함을 써놓는 풍속이 생겼으며, 연초의 세배는 새해를 맞이하여 경의를 표시하고는 문안드리는 것으로, 장유의 서열에 따라 꼭 지키는 것이 서로의 예의이었다.

세함에 성명을 적어 두고 다녀갔다는 표시가 되면 우선 예의를 지킨 셈이 된다. 오늘날의 내방객명부와 같은 것이다. ≪동국세시기≫에도 이 세함에 대한 기록이 있어서 이것이 전통적인 관습임을 알 수가 있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