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 목판본. 1933년 후손 하주(夏柱)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속집은 불분권 1책인데 필사본으로 아직 간행되지 못하였다. 모두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본집은 권1·2에 시 36수, 서(書) 29편, 권3에 잡저 6편, 서(序) 1편, 기(記) 5편, 발(跋) 3편, 잠(箴)·명(銘)·애사(哀辭)·행장 각 1편, 부록으로 행록(行錄)이 실려 있다. 속집에는 시 11수, 서(書) 11편, 잡저 4편, 기 1편, 제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사우(師友)간에 학문상의 문제점에 대해 서로 질의한 것으로, 특히 사칠논변(四七論辨) 등 심성론(心性論)에 대한 문답이 많다.
「상완이이장인구(上莞爾李丈寅龜)」의 별지(別紙)를 보면 이이(李珥)와 이재(李縡)가 ‘심(心)이 곧 기(氣)’라고 한 것에 대해 의문을 품고, 기는 사람마다 타고난 것이 서로 다르다고 했는데, 만약 심이 기라고 한다면 이것은 서로 모순이 된다고 하였다. 이밖에 스승인 우성규(禹成圭)에게 이기와 성리(性理)에 대해 질의, 문답한 것도 있다.
잡저 가운데 「기마론(氣馬論)」은 이기설에 대한 독특한 견해를 논리 정연하게 서술한 글이다. 속집의 잡저 가운데 「평거수록(平居隨錄)」은 학문 연구에 있어서 자신이 평소에 느끼거나 깨달은 점들을 간결히 수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