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국 ()

목차
고대사
지명
초기국가시대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었던 소국.
이칭
이칭
조문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초기국가시대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었던 소국.
형성 및 변천

조문국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벌휴이사금 2년 (185)조에는 “파진찬(波珍飡) 구도(仇道)와 일길찬(一吉飡) 구수혜(仇須兮)를 좌우군주(左右軍主)로 삼아 소문국을 공벌(攻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삼국사기』 지리지에 따르면 “문소군(聞韶郡)은 본래 소문국(召文國)인데 경덕왕이 개명하였고 지금의 의성부(義城府)이니 소속 현은 네 곳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고려사(高麗史)』,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에도 의성에는 소문국이 있었던 것으로 서술되고 있다. 『대동지지(大東地志)』와 『읍지(邑誌)』에는 소문국의 옛 터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서 남쪽으로 25리 떨어진 금성면 일대라 하고 있다.

실제 의성 지역에 많은 고분군이 있는데, 금성산 고분군이라고 일컬어지는 금성면 대리리, 탑리리, 학미리 일대 고분은 군집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신라 마립간시기 왕족의 무덤인 적석목관분과 매우 흡사한 구조여서 주목된다. 탑리리에는 직경 20m가 넘는 봉분이 16기나 되며 가장 큰 것은 동서 41m, 남북 30m, 높이 8m에 이른다. 곧 고고 자료 분포 양상을 참고할 때도 소문국 중심지가 금성면 일대였다는 문헌 기록과 일치한다. 이에 1960년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탑리리 고분을 발굴 조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공작새 날개 모양 3개의 입식(立飾)을 가진 금동관을 비롯한 금동 위세품 등이 출토되어 주목받았다. 이후 경희대학교와 경북대학교 등이 금성산 고분군에 대한 발굴 조사를 연차적으로 실시한 결과, 여러 고분에서 다수의 금동관과 금동위세품, 환두대도, 장신구 등이 대량 출토되었다. 이에 1998년 4월 13일 경상북도에서 의성 금성산 고분군을 1998년 경상북도 지방기념물로 지정하였고, 2013년 의성 조문국 박물관과 고분전시관을 개관해 발굴 유물과 기증 유물 등을 중심으로 운영해 오고 있다.

한편, 필사본 『화랑세기(花郎世記)』에 의거하여 사로국의 김씨 왕실과 소문국 왕녀 운모 사이의 혼인을 계기로 양 가문이 혈연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은 결과 진골 정통 일파를 형성하였다는 견해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필사본 『화랑세기』 자체의 진위 여부에 논란이 심하여 섣불리 1차 사료로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결과적으로 신뢰할 만한 문헌 자료는 매우 소략하여 소문국의 역사를 복원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다만 소문국 공벌 기사와 관련해 사로국이 군주제를 확충하여 처음으로 정복한 나라가 소문국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좌우군주 신설과 연속된 소문국 공벌 기사를 통해 두 가지 방식의 이해가 가능하다. 기사의 서술 순서에 따라 사로국이 적극적인 정복전을 전개하며 한 사람만 임명하던 군주를 좌우 군주로 확충해 최초로 정복 대상이 된 소국이 소문국이라는 단순한 이해 방식이다. 또 하나는 경북 일대 지역에서 유일하게 소문국이 신라의 적석목관분과 비교될 만한 대형 고분이 축조되었던 점을 함께 감안해 볼 필요가 있다. 곧 본래 소문국의 국력이 강했던 까닭에 이의 정복에 앞서 군주제를 확충했을 여지도 있으며, 최종적으로 사로국에 정복당한 이후에도 소문국 왕족의 위상이 한동안 유지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조문국의 지배세력과 친족집단』(이종욱 외, 의성조문국박물관·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의성지역 고분조사 50년과 조문국의 지배세력』(이재환 외, 의성조문국박물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3)
『조문국의 성쇠와 지배세력의 동향』(김병곤 외, 경북 의성군·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신라국가형성사연구』(이종욱, 일조각,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