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수삼강록 ()

목차
관련 정보
속수삼강록
속수삼강록
문헌
1904년부터 1909년까지 경약소에서 정은채가 전국 13도의 충신 · 효자 · 열부의 전기를 수집하여 편찬한 교훈서. 삼강록.
목차
정의
1904년부터 1909년까지 경약소에서 정은채가 전국 13도의 충신 · 효자 · 열부의 전기를 수집하여 편찬한 교훈서. 삼강록.
내용

1책. 『삼강록』의 편찬과정과는 달리, 사찬(私撰)의 형식으로 경약소(京約所)에서 인출한 것이다. 즉, 도사(都事) 정은채(鄭殷采)가 향약의 근본취지를 널리 펴고자 경약소를 설치하고, 13도 각 군에다 도헌(都憲)을 두면서 각 고을의 충신·효자·열부·일인(逸人)의 전기를 널리 수집하였다.

편차는 ① 삭주·초산·벽당 ② 의주 ③ 의주 ④ 요동·장수 ⑤ 평산·광주(光州)·장성 ⑥ 초산·순안 ⑦ 자성(慈城)·운산·원창·순창 ⑧ 벽당·전주·익산 ⑨ 강릉·평창·흡곡 ⑩ 만명·평산·익산을 조병식(趙秉式)의 서문과 함께 한묶음으로 하였다.

다른 묶음은 정은채의 발문과 함께 ① 비안·영천·흥해·자인 ② 대흥·장기·연일 ③ 대구 ④ 청주 ⑤ 영해·군위·신령·영덕·영춘·단양·청풍 ⑥ 무안·영광·지도(智島)·능주 등지를 다루었다.

이 책은 위의 상·하 2편을 1책으로 합편한 것인데, 마지막 장에는 대내(代內)·장례원(掌禮院), 각 도·군 향교 및 삼강록 자손에게 한부씩 반질(頒帙)한 것을 기록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순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