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목차
개념
전통적으로 배운 글을 소리 높이 읽고 문장의 뜻과 이치를 문대(問對)하는 교수방법.
목차
정의
전통적으로 배운 글을 소리 높이 읽고 문장의 뜻과 이치를 문대(問對)하는 교수방법.
내용

주로 조선시대에 교육방법의 하나로 체제를 갖추어 실시되었다. 강이란 배운 글을 소리 높이 읽고 문장의 자세한 뜻과 이치를 문대(問對)하는 전통적인 교수방법으로, 성균관·향교·서원·서당 등 당시의 모든 교육기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실시하는 시기에 따라 일강(日講)·순강(旬講)·망강(望講)·월강(月講) 등으로 나누어진다. 강은 암송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리(文理)를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암송하고 난 뒤에 전개되는 문답식 교육방법은 기계적 기억에 그치기 쉬운 학습을 올바로 이끌어주며, 1 대 1의 대면학습이므로 능력별 수업이 가능하고 인격적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강에는 배강(背講)과 면강(面講)이 있는데, 배강은 외워서 읽는 암송낭독이며, 면강은 책을 보고 읽는 임문낭독(臨文朗讀)을 말한다.

일반적인 강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당번[直日]이 사석(師席) 앞에 책상을 갖다 두면, 사강(司講) 2명이 동쪽을 향하여 사석 양쪽에 각각 앉는다. 치첨통(置籤筒)을 스승의 책상 위에 놓고, 강을 할 책 3권을 사석과 사강 앞에 각각 놓는다.

강생을 차례대로 호명하면 지정된 강생이 사석 앞으로 나아가 두 번 절한 뒤 무릎을 꿇고 앉는다. 주어진 글을 읽고 질의에 응답하며, 끝난 뒤 사석과 사강은 각기 찌[栍]를 성적에 맞게 헤아려 직일에게 알리고 직일은 기록부에 이를 상세히 기록한다.

한번 사용한 찌는 치첨통에 넣으며, 고생(考栍)이 끝나면 강생은 두 번 절하고 물러난다. 강을 마치면 집례(執禮)가 사석에게 나아가 강을 마쳤음을 알리고, 사석이 자리에서 일어나면 강생들은 일제히 일어나 사석을 향해 함께 두 번 절한다.

이에 사석은 읍(揖)을 하여 답하고 강을 파한다. 이러한 강회가 시작되기 전과 끝날 때는 주희(朱熹)의 <백록동규 白鹿洞規>와 <향약>을 낭독하는 것이 상례이다.

일반적인 강석(講席)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강의 평가는 통(通)·약(略)·조(粗)의 3단계 평가, 또는 대통(大通)과 불(不)을 3단계의 앞뒤로 넣어 5단계의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대통은 구두(句讀)에 밝고 설명에 막힘이 없어서 책의 근본되는 뜻을 두루 알며, 다른 책에까지 미치어 매우 밝게 알고 철저하게 통하는 경우이다. 통은 더할 수 없는 경지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여도 구두에 밝고 설명에 막힘이 없는 경우이다.

약은 밝게 알고 철저하게 통하지는 못하나 구두가 분명하고 사의(辭意)가 통할(通割)한 경우이다. 조는 구두에 자세하고 뜻을 깨달아 일장(一章)의 줄거리 뜻은 알지만 설명이 미진한 경우이며, 불은 낙제이다.

참고문헌

『增補文獻備考』
『韓國書院敎育制度硏究』(丁淳睦,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79)
집필자
정순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