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250cm. 1982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종신에 비해 지나치게 크게 묘사된 쌍룡의 용뉴(龍鈕)는 조금 투박하게 처리되었고, 불룩히 솟아오른 천판(天板)은 위로부터 3단으로 나누어 중단에 팔괘문(八卦文)과 하단에는 화려하게 부조된 연판문대(蓮瓣文帶)를 장식하였다.
이 연판문대의 바로 밑으로 또 하나의 구획을 두어 마치 연뢰(蓮蕾)처럼 장식된 연봉오리를 간격을 두며 8개소에 장식한 점이 독특하다. 한편 종신은 그 중단을 여러 줄의 횡대로 두르고 그 위 · 아래의 여백을 각각 4개의 가사문곽(袈裟文廓)으로 구획하였다.
상부의 가사문곽대에는 각각 ‘皇帝萬歲(황제만세)’ · ‘重臣千秋(중신천추)’ · ‘風調雨順(풍조우순)’, ‘法輪常轉(법륜상전)’의 문구가 양각되고, 아래에는 ‘懷遠大將軍行南京中年(회원대장군행남경중년)’으로 시작되는 장문(長文)의 양각명문을 새겨놓았으나 마모가 심해 확실히 판독되지 않는다.
종구(鐘口)는 8릉의 굴곡을 이루며 나팔형태로 넓게 퍼진 전형적인 중국종의 모습이다. 굴곡진 종구의 외연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도록 하대(下帶)를 만들었고, 그 위로부터 하단의 가사문대 사이에는 구름 위를 나는 격동적인 모습의 용문(龍文)을 매우 화려하게 부조시켰다.
기록된 명문 가운데 기년(紀年) 부분이 확인되지 않아 확실한 제작연대를 알 수 없지만, 양식적 특징이나 문양으로 보아 중국 송대 초기쯤 만들어진 범종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