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세림 ()

어면순
어면순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능성현령, 홍문관교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헌중(獻仲)
취은(醉隱), 눌암(訥庵)
이칭
고은(孤隱), 고송(孤松)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79년(성종 10)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여산(礪山: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
주요 관직
능성현령|홍문관교리
정의
조선 전기에, 능성현령, 홍문관교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헌중(獻仲), 호는 취은(醉隱)·고은(孤隱)·고송(孤松)·눌암(訥庵). 송계성(宋繼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송복리(宋復利)이고, 아버지는 군수 송연손(宋演孫)이며, 어머니는 김보첨(金甫添)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98년(연산군 4) 진사가 되고, 1502년 알성시(謁聖試)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그러나 과거에 급제한 뒤 얼마 되지 않아 상을 당하여 초상 중 너무 슬퍼한 나머지 병을 얻어 벼슬에 오르지 않아 갑자사화를 면하였다. 이 때문에 스스로 ‘취은’이라 호하였다.

이 후 여러 벼슬을 거쳐 1516년(중종 11) 능성현령(綾城縣令)으로 재직 중 방납(防納) 폐단의 제거, 책 인쇄로 인한 과중된 잡세(雜稅) 폐지, 군액(軍額) 충당을 위한 중[僧]의 추쇄(推刷: 세금수취의 인정단위가 될 수 있도록 일반 백성으로 환속시킴)와 절[寺]의 소각, 우전입마(郵傳立馬: 역참의 말을 길러 공용에 이용하던 제도)의 폐에 대한 개선 등을 내용으로 한 지방행정제도 개혁안을 상소하여 시행하게 하였다.

이 상소로 중종으로부터 포상을 받고 벼슬도 가자(加資)되었다. 뒤에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에 이르러 병으로 사퇴하였다. 당대 문명을 떨쳤고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다. 태인의 무성서원(武成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어면순(禦眠楯)』이 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해동잡록(海東雜錄)』
『대동야승(大東野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태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