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은 송영식(宋永植). 전라북도 익산 출신.
1907년 9월 일본의 내정간섭 및 국권침탈에 항거하기 위하여 유지명(柳志明) · 유치복(柳致福) · 유영석(柳瑛錫) · 이춘화(李春和) · 유준석(柳俊錫) · 유춘호(柳春浩) · 송경문(宋京文) 등과 지사 100여 명을 규합하여 의진을 구성하고 유치복을 대장으로 추대하였다.
효과적인 항일투쟁을 위하여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 불당동에서 군기를 제작하여 조달할 것을 계획하고, 군자금 모금과 항일유격전을 전개하기로 하였다.
같은해 10월 익산군 우북면의 면장인 이화순(李化順)의 집에 잠입하여 군자금 30원을 모금하였다. 얼마 뒤 유지명이 새로운 의진을 만들자 그 곳에 들어갔다. 1908년 12월 익산군 미륵면에 거주하는 일진회 익산지구 간부인 최순표(崔順杓)를 처형하였다.
그 뒤 정읍 · 왜관 등지에서 활약하였고, 1909년 10월 정읍 신태인에서 적과 접전 중에 붙잡혀 전주로 송치되었다. 이듬해 2월 광주지방재판소(光州地方裁判所) 전주지부에서 징역 7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