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궐음심포경 ()

목차
의약학
개념
인체에 분포되어 있는 십이정경의 하나로 심포 및 삼초와 관련된 경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인체에 분포되어 있는 십이정경의 하나로 심포 및 삼초와 관련된 경맥.
내용

십이정경(十二正經) 중 수부삼음경(手部三陰經)의 하나이다. 수궐음심포경은 흉중(胸中)에서 시작하여 심포(心包)에 귀속되고 횡경막을 통과하여 상초(上焦)·중초 및 하초의 삼초(三焦)로 이어진다.

다른 가지는 흉부를 따라 옆구리로 가서 상행한 다음 겨드랑이 아래에 이르러 상지 안쪽 중간을 통과하여 가운뎃손가락 안쪽 끝에서 멈춘다. 한편 손바닥 가운데(勞宮)에서 무명지 외측 말단으로 나뉘어 흘러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으로 이어진다. 수궐음심포경은 심포 및 삼초와 관련이 있다.

소속경혈은 순행경로에 따라 천지(天池)·천천(天泉)·곡택(曲澤)·극문(郄門)·간사(間使)·내관(內關)·대릉(大陵)·노궁(勞宮)·중충(中衝) 등이 있다. 자주 쓰이는 경혈 중에 곡택은 팔꿈치 안쪽에 있는 횡문(橫文)의 중앙, 상완이두근건(上腕二頭筋腱)의 척골측(尺骨側)에 있는 경혈로 심장병·심계항진·심교통(心絞痛)·수전(手顫)·주관절통(肘關節痛)·구토 등에 사용한다. 간사는 팔목 안쪽 횡문의 정중앙(正中央)에서 상방 3촌 부위에 있는 경혈로 위통·심통(心痛)·신경통·월경불순·조현증(調絃症, 정신분열증) 등에 효과가 있다.

내관은 팔목 안쪽 횡문의 정중앙에서 상방으로 2촌 부위에 있는 경혈로서 일체내상(一切內傷)·비위불화(脾胃不和)·오심구토·인후통·중풍 등에 사용된다. 대릉은 팔목 안쪽 횡문의 중앙에 있는 경혈로서 심장질환·중풍·고혈압·신경쇠약·완관절염(腕關節炎) 등에 이용되고, 노궁은 손바닥의 중앙으로 주먹을 꼭 쥐었을 때 중지 끝과 무명지 끝의 중간 부위에 있는 경혈로서 완관절통·피로·신경증·전간(癲癇)·구토 등에 이용된다.

참고문헌

『원색침구혈위해부도보』(최용태·김창환, 대성문화사, 1985)
『최신침구학』(김현제 외, 성보사, 1979)
『황제내경영추해석』(홍원식, 고문사,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