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명대장경 ()

목차
의약학
개념
인체에 분포되어 있는 십이정경의 하나로 대장 및 폐 · 위 등과 관련된 경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인체에 분포되어 있는 십이정경의 하나로 대장 및 폐 · 위 등과 관련된 경맥.
내용

십이정경(十二正經) 중 수부삼양경(手部三陽經)의 하나이다. 수양명대장경은 식지의 엄지 쪽 말단에서 시작하여 팔의 바깥쪽 앞부분을 따라 견관절(肩關節)의 앞쪽 윗부분에 이른 다음 등 뒤의 견갑골 상단을 지나 대추혈(大椎穴: 제7경추와 제1흉추 돌기 사이)에서 교차하여 다시 앞으로 나와 쇄골(鎖骨)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계속 하행하여 폐에 연락되고 횡격막을 통과하여 대장에 속하게 된다.

한편 쇄골 상부에서 상행하여 아랫니 속(下齒中)으로 들어갔다가 입술을 돌아 나와 인중(人中)에서 좌우의 경맥이 교차하고 상행하여 비공(鼻孔) 옆 족양명경(足陽明經)으로 연결된다. 수양명대장경은 대장 및 폐·위 등과 관계가 있다.

소속경혈은 순행순서에 따라 상양(商陽)·이간(二間)·삼간(三間)·합곡(合谷)·양계(陽谿)·편력(偏歷)·온류(溫溜)·하렴(下廉)·상렴(上廉)·수삼리(手三里)·곡지(曲池)·주료(肘髎)·수오리(手五里)·비노(臂臑)·견우(肩髃)·거골(巨骨)·천정(天鼎)·부돌(扶突)·화료(禾髎)·영향(迎香) 등이 있다.

자주 쓰이는 경혈(經穴) 중에 합곡은 엄지와 검지의 뼈가 나누어지는 곳에 움푹 들어가 있는 곳으로, 입과 얼굴 부위의 모든 질환 및 반신불수·신경쇠약 등에 효과가 있다.

수삼리는 곡지혈 아래 2촌(寸) 되는 곳으로서, 중풍·구안와사·축농증·곽란·상지신경마비 등에 사용된다. 곡지는 팔을 직각으로 구부려 팔굽 안쪽의 횡문(橫紋)이 끝나는 부위로서 중풍·반신불수·고혈압·두통·마진(麻疹)·상지관절통 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견우는 팔을 수평이 되게 벌렸을 때 어깨에 나타나는 두 개의 함요부 중 앞쪽 부위로서 중풍·반신불수·견갑통·피부병 등에 쓰이고, 영향은 비익(鼻翼) 끝 부근에서 외측으로 5푼 되는 곳에 있는 경혈로서 중풍·구안와사·축농증 등에 효과가 있다.

참고문헌

『원색침구혈위해부도보(原色鍼灸穴位解剖圖譜)』(최용태·김창환, 대성문화사, 1985)
『최신침구학(最新鍼灸學)』(김현제 외, 성보사, 1979)
『황제내경영추해석(黃帝內經靈樞解釋)』(홍원식, 고문사, 19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