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정경(十二正經) 중 수부삼양경(手部三陽經)의 하나이다. 수태양소장경은 다섯번째 손가락 외측 말단에서 시작하여 상지의 후외측(後外側)을 따라 어깨에 있는 견갑골 상부를 지나 대추혈(大椎穴: 제7경추와 제1흉추 돌기 사이)에서 교차한 다음 다시 앞으로 나와 쇄골을 통해 가슴 속으로 들어가 심장에 연락되고 횡경막을 지나 소장에 속한다.
한편 쇄골 상부에서 목을 지나 상행하여 눈초리를 지나 귀 속으로 들어가고 다른 한 줄기는 안면의 뺨을 지나 눈구석 밑에서 족태양방광경으로 이어지고 난 다음 뺨에서 멈춘다. 수태양소장경은 소장(小腸) 및 심장·위 등과 관계가 있다.
소속경혈은 순행경로에 따라 소택(少澤)·전곡(前谷)·후계(後谿)·완골(腕骨)·양곡(陽谷)·양로(養老)·지정(支正)·소해(小海)·견정(肩貞)·노수(臑兪)·천종(天宗)·병풍(秉風)·곡원(曲垣)·견외수(肩外兪)·견중수(肩中兪)·천창(天窓)·천용(天容)·관료(顴髎)·청궁(聽宮) 등이 있다.
자주 쓰이는 경혈(經穴) 중에 후계는 주먹을 쥐었을 때 다섯 번째 중수골(中手骨) 외측에 생기는 횡문(橫紋)의 끝부분으로, 두통·학질·이명(耳鳴)·상지마비·요통 등에 사용된다. 완골은 후계혈에서 손끝으로 밀고 팔쪽으로 올라가다 걸리는 제5중수골 뒤의 두상골(豆狀骨) 아래 함요부(陷凹部)로 두통·구토·수지관절염 등에 쓰인다.
천종은 견갑골극(肩胛骨棘)의 중앙에서 1촌 반 아래에 있는 함요부로 견갑통·심통(心痛)·늑간신경통·상지불거(上肢不擧) 등에 이용되며, 청궁은 귀 바로 앞에 있는 곳으로 입을 벌렸을 때 움푹 들어가는 부위로 이명·이롱(耳聾)·중이염(中耳炎)·치통·안면신경마비 등에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