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목 ()

목차
관련 정보
신목
신목
민간신앙
개념
신령이 강림하여 머물러 있다고 믿어지는 나무를 가리키는 종교용어. 당나무.
이칭
이칭
당나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령이 강림하여 머물러 있다고 믿어지는 나무를 가리키는 종교용어. 당나무.
내용

무(巫)에서 신목은 하늘과 땅, 그리고 하느님과 인간이 만나는 거룩한 곳이므로 우주의 중심으로 여겨지고 우주목(宇宙木)의 의미를 가진다.

단군신화에 의하면 환웅(桓雄)은 태백산 꼭대기에 있는 나무 신단수(神壇樹) 밑에 강림하였다 하니, 신목 신앙이 한민족의 태초로부터 시작되었음을 알려준다. 신목에 대한 신앙은 산악신앙 및 천신강림(天神降臨) 신앙과 연결되어 있다. 고조선 이래 신목에 대한 신앙은 무와 더불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내려온다.

1919년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조선거수노수명목지 朝鮮巨樹老樹名木誌≫에 따르면 당시 한반도 전체 신목의 총수는 940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목의 나무종류로는 느티나무가 가장 흔하고 팽나무와 들메나무가 그 다음으로 많다.

신목은 그 위치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신앙되어온다. 하나는 무당의 집이나 신당(神堂) 곁에 자리하여 있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마을이나 산 속에 위치하여 있는 경우이다.

무당집 곁에 특정의 신수(神樹)를 모시는 풍속은 시베리아 제민족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전자의 경우 신목은 특히 당건물 및 신천(神泉)과 함께 한국무의 전형적인 신당 내지 굿당을 이루어왔다.

신당의 신목은 영험한 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믿어져 무당은 영력을 얻기 위해, 단골은 집안식구의 병을 낫게 하려고 색색의 헝겊이나 환자의 옷가지를 나무에 걸어둔다. 굿하는 도중 신목 앞에 약간의 제물이 바쳐지기도 한다. 마을이나 산 속에 위치한 신목이 특별한 신명(神名)을 얻어 불리는 경우가 많은데, 성황목(城隍木)·산신목(山神木)·부군목(府君木)·대감목(大監木)·동신목(洞神木)·본향목(本鄕木) 등이 그것이다.

이들 신목을 위하여 매년 봄이나 가을에 정기적으로 마을굿이 행하여진다. 태만하여 그 굿을 올리지 않으면 벌로 재앙이 내린다고 믿어지고 있다. 동네의 치성을 드리는 신목이 암수 한 쌍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신목의 주위에 돌무더기를 쌓아놓거나 또는 돌로 제단을 마련하여두는 예도 많다.

일제강점기 이래 신목 신앙을 미신으로 여긴 기독교인들이 그 타파의 일환으로 마을의 신목을 베어버리거나 훼손하여 신목은 많이 줄어들었고, 그 때문에 마을사람들과 반목을 불러일으킨 사례가 흔하였다. 그러나 신목은 아직도 많이 남아 신앙되고, 신목 신앙은 한국사람들에게 여전히 살아 있다.

참고문헌

『한국무교(巫敎)의 역사와 구조』(류동식, 연세대학교출판부, 1975)
『한국의 무(巫)』(조흥윤, 정음사, 1983)
『朝鮮巫俗の硏究』 下(赤松智城·秋葉隆, 大阪 屋號書店, 1938)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