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 아미타극락회상도 ( )

목차
회화
작품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1781년(정조 5년) 작. 삼베 바탕에 채색. 세로 504㎝, 가로 320㎝.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약사불회도(藥師佛會圖)와 함께 봉안된 삼세불화(三世佛畫) 가운데 하나이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중심으로 8보살 및 10대제자, 2구의 타방불(他方佛), 사천왕(四天王) 등이 둘러싼 군도식(群圖式) 원형 배치를 보여 주는 그림이다.

붉은 법의(法衣)로 몸을 감싼 아미타불은 아미타수인을 하고 청색의 연화좌(蓮華座)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모습이다. 법의에는 복잡한 무늬의 원문(圓文)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가장자리에는 화려하고 복잡한 꽃무늬가 정교하게 표현되어 있다. 머리 모양은 나발(螺髮)로서 가운데에는 넓적한 반원형의 중간 계주(中間髻珠)가 그려져 있다. 꼭대기에는 원형의 정상 계주(頂上髻珠)가 유난히 강조되었다.

움츠린 듯한 평판적인 네모난 상체, 각진 두 무릎의 윤곽선, 수평으로 가로지른 군의(裙衣)를 묶은 매듭 띠가 좌우대칭으로 늘어진 점은 조선 후기 불상의 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통견(通肩)의 법의 안에 엿보이는 매우 작고 형식적으로 표현된 승각기[上內衣]치레 장식은 고려 14세기 불상에 크게 유행하던 장식이다. 이 불화에 재현된 점이 매우 흥미롭다.

아미타불의 주위로는 8대보살이 크게 표현되었다. 8부신중(八部神衆) 등의 여러 권속들은 상대적으로 작게 묘사되어 있다. 영락(瓔珞 :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 장식이 화려한 관음보살(觀音菩薩)과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은 높은 보관에 각각 화불(化佛)과 보병(寶甁)을 새겼다. 그리고 두 손에는 보병과 경책(經冊)을 얹은 연꽃을 들었다.

배 부근에 둥근 구슬로 장식한 점이라든지 무릎 아래로 동여매어 톱니 모양의 술 장식을 한 것은 1565년(명종 20년)의 약사삼존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래 조선 후기 보살상에서 유행한 옷장식이다. 불투명한 백의(白衣)를 걸친 관음과, 갑사와 같은 투명한 모자를 쓴 지장보살(地藏菩薩)이 특징적이다.

사천왕은 2구만 보인다. 왼쪽[向右]에는 보탑(寶塔)과 창을 든 광목천왕(廣目天王)이, 오른쪽에는 여의주(如意珠)와 용(龍)을 든 증장천왕(增長天王)이 배치되고 나머지 2구는 중앙 벽에 봉안된 영산회상도에 그려져 있다. 각 형태가 도식화되기는 하였지만 바탕이 보일 정도로 엷게 채색해서 차분하고 고운 간결한 필선이 엿보인다.

주조색은 적색과 녹색으로 보색 대비가 뚜렷하다. 신체에는 자연스런 살색보다는 흰색을 칠하여 차갑고 경직된 느낌을 준다. 화기에 의하면, 금어(金魚 : 불화에 숙달된 畫僧) 평삼(平三) 외 5인이 공동으로 제작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조선조아미타불화(朝鮮朝阿彌陀佛畵)의 연구」(류마리, 『조선조불화의 연구-삼불회도(三佛會圖)-』,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