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쌍계사 동종 ( )

목차
관련 정보
하동 쌍계사 동종
하동 쌍계사 동종
공예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 대웅전 안에 있는 조선 후기의 종.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 대웅전 안에 있는 조선 후기의 종.
개설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95.7㎝. 앞을 바라보는 한 마리의 용뉴(龍鈕)와 뒤에 붙은 죽절형(竹節形)의 음통(音筒)을 갖춘 한국 전통형 범종 양식을 따르고 있다. 1641년(인조 19)에 제작되었다.

내용

불룩 솟아오른 천판(天板) 외연에는 연판의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가 솟아 있고, 상대(上帶)에는 상부에 복판복엽의 연판문과 당초문, 그리고 아랫단에 연주문띠를 장식하였다.

상대 아래 붙은 방형의 유곽대(乳廓帶)에는 연당초문(蓮唐草文)을 시문하고, 유곽 안으로는 화문좌(花文座) 위에 낮게 돌기된 9개씩의 종유(鐘乳)를 배치하였다. 유곽 사이마다 2줄의 범자문대(梵字文帶)를 두어 상단에는 ‘六字光明眞言(육자광명진언)’이라 양각된 원권(圓圈) 범자문을, 하단에는 ‘破地獄眞言(파지옥진언)’이라는 범자문을 둘러넣었다.

이 네 방향의 범자문대 아래마다 위패형(位牌形)의 명문구와 연꽃가지를 든 운상(雲上)의 보살입상을 1구씩 나란히 배치하였는데, 이러한 모습의 운상보살입상은 조선 17세기 범종에서 널리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양식적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아울러 하대(下帶)에는 만개된 화문과 연당초문이 섬세하게 부조되어 있어, 조선 후기 범종 중에서도 한국 전통양식을 가장 충실히 계승한 수작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불교미술대전』-불교공예-(한국색채문화사, 1994)
「한국범종에 관한 연구-조선조종의 특징-」(염영하, 『범종』11, 한국범종학회, 1988)
집필자
최응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