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타삼존도 ()

목차
관련 정보
아미타삼존도
아미타삼존도
회화
유물
국가유산
고려시대의 불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84년 08월 06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불화.
개설

198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 아미타삼존내영도는 협시보살이 관음(觀音)과 세지(勢至)가 아닌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다. 이러한 삼존 형식은 고려시대에는 그렇게 성행하지 않은 듯 다른 예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내용

구도면에서는 본존과 협시보살이 비스듬히 서 있다. 관음보살은 본존의 한 발 앞에 나와 몸을 앞으로 굽힌 채 내영자에게 두 손을 뻗고 있다. 그리고 손 위에 올려놓은 연꽃대좌 위로 맞아들이려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한 줄기 빛이 본존의 계주(髻珠)로부터 뻗어 내영자에 비치는 것으로 보아 관음보살이 아미타불의 대행자 노릇을 충실히 하고 있는 구도라 하겠다.

본존은 다소 정적인 모습이긴 하지만 풍만한 얼굴, 근엄한 표정 등이 일본 큐세이아타미미술관[救世熱海美術館] 소장 고려 불화의 본존 얼굴과 비슷하다. 활기찬 어깨와 당당한 가슴, 쑥 내민 팔 등은 건장한 장자풍의 부처의 위엄이 잘 표현된 상임을 시사해준다. 붉은 가사와 녹색 내의의 대비며, 꽃무늬와 구름무늬의 대조 등도 큐세이아타미미술관 소장 고려 불화와 유사한 것으로 서로 비슷한 양식을 보여 준다.

오른쪽 지장보살은 소년 같은 앳된 얼굴, 승려 머리의 괄호형 모양의 이마, 오른손에는 보주만 올려놓고 있는 수인(手印) 등이 일본 닛코지[日光寺] 소장 지장보살상과 비슷하다. 왼쪽의 관음보살은 보관 형태, 남성적인 얼굴, 묵직한 천의 자락, 어깨로 내려온 머리카락 등은 1320년(충숙왕 7)작 아미타구존도의 측면 보살들과 흡사하므로 이 역시 당시 작품으로 추정된다.

관음·지장이 협시한 독특한 형식의 이 삼존도는 구도면에서도 내영도로서의 효과를 성공적으로 묘사한 걸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7-고려불화-(이동주 감수, 중앙일보사, 1981)
『高麗佛畵』(菊竹淳一·吉田宏志, 東京: 朝日新聞社, 198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