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행하의 시 · 서(書) · 제문 · 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행하의 시 · 서(書) · 제문 · 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권행하의 아들 권중연(權重淵) 등이 편집·필사하였다. 1986년 후손 권석영(權錫穎)이 간행한 『대유문헌(大酉文獻)』에도 수록되어 있다. 서문이나 발문은 없다.

서지적 사항

6권 3책. 필사본.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안동권씨 종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권1에 시 24수, 발(跋) 5편, 권2에 서(書) 44편, 명(銘) 3편, 애사 1편, 제문 13편, 유사 1편, 권3·4에 잡저 4편, 권5·6에 부록으로 만사 29수, 뇌사(誄辭)·애사 각 1편, 제문 44편, 묘지명·광기(壙記)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시는 질박한 시어로 자신의 청렴한 생활을 잘 묘사하였다. 특히 「악사소지(惡師小識)」에는 저자의 엄격한 생활, 근면한 학문태도가 잘 나타나 있다.

서는 주로 스승, 동료 학자 및 제자들과 학문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질의·토론한 내용이다. 「상대평서(上大坪書)」의 문목(問目)에서는 상제(喪祭)의 의복과 『태극도설(太極圖說)』에 대하여 스승 유치명(柳致明)에게 질의한 내용이다.

「답이중문만숙논대학(答李仲聞晩淑論大學)」에서는 형질(形質)·위학차제(爲學次第)·명덕이기(明德理氣)·체용(體用)·기위부자형제족법(其爲父子兄弟足法)·무불학기학언자(無不學其學焉慈)·박위허록(剝位虛祿) 등에 대하여 논리정연하게 풀이하였다.

이밖에 「성조일고유문(成造日告由文)」과 「이아병시고성조문(二兒病時告成造文)」은 민간에서 집의 터신으로 섬기는 성주를 맞아들이거나 액땜을 하기 위하여 쓴 한문체문장으로, 민속학연구에 도움이 된다.

잡저의 「선사록(善師錄)」은 일상생활에서 느끼고 깨달은 점을 경전의 문구나 속담을 인용하면서 적은 것이고, 「평문일록(坪門日錄)」은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 학문의 방법과 일상생활에서의 응용 등을 기록한 글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