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나소동 고분군 ( )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나소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신라 무덤군.
이칭
이칭
안동나소리고분군, 안동 나소리 초당재 고분군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무덤군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신라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안동나소동고분군(安東羅所洞古墳群)은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나소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신라 무덤군이다. 당시 나소리가 안동댐 공사의 수몰 지역에 포함되어 1974년 문화재관리국(현, 국가유산청)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발굴 당시 파괴되어 제대로 조사할 수 없었지만, 안동마동고분군처럼 작은 규모의 돌덧널무덤으로 이루어진 무덤군으로 알려졌다. 신라가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면서 신라 문화가 안동 지역에 전해졌다는 사실을 알려 주는 자료이다.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나소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신라 무덤군.
발굴경위 및 결과

안동나소동고분군은 안동댐 공사로 물에 잠기는 지역에 포함되면서 1974년 문화재관리국(현, 국가유산청)에서 조사한 무덤군이다. 현재는 모두 물에 잠긴 상태이다. 당시에는 나소리가 월곡면(月谷面)에 속했으나 지금은 와룡면(臥龍面)에 편입되었다.

조사 시점에는 나소리 요촌마을 북쪽 700m 거리에 초당재가 있었고 초당재 주변에 무덤군이 있었다. 무덤군이 있는 곳은 낙동강 쪽으로 튀어나온 작은 구릉으로 이 구릉의 높은 지점에 5∼6기의 무덤이 좁은 범위에 모여 있었다.

1972년에 무덤군을 확인한 때에는 5~6기의 돌덧널무덤이 완전한 상태로 있었지만, 1974년에 현장 조사를 착수한 시점에는 도굴로 무덤이 모두 파괴된 상태였다. 이 때문에 파괴된 무덤에 대한 정리만 진행하였다.

형태와 특징

안동나소동고분군은 안동마동고분군에서 확인된 삼국시대 무덤과 비슷한 모습으로 알려졌다. 대체로 길이 1.5m 내외, 너비 1m 내외 크기의 돌덧널무덤이다. 벽은 깬돌과 냇돌을 쌓아 만들었고 뚜껑돌은 없었다. 납작한 강돌을 바닥에 깔아 주검받침을 만들고 그 위에 껴묻거리를 놓았다.

무덤 주변에서 확인한 토기도 안동마동고분군의 삼국시대 무덤에서 출토된 토기와 비슷한 모양이었다. 따라서 5~6세기에 만들어진 삼국시대 신라의 무덤군으로 짐작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신라가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신라 문화가 안동 지역에 전해졌다는 사실을 알려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호관, 『1974년 도안동수몰지구유적발굴보고(安東水沒地區遺蹟發掘報告)』(문화재관리국,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