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신세동 출토 종 (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신세동 출토 종
안동 신세동 출토 종
공예
유물
경상북도 안동시 신세동에서 출토된 고려시대의 범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신세동에서 출토된 고려시대의 범종.
내용

높이 32.0㎝. 국립대구박물관 소장. 우리나라 종 가운데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는 매우 독특한 양식을 지닌 작품이다.

종신(鐘身)에 비해 크게 묘사된 용뉴(龍鈕)는 세부가 과장되어 괴수형(怪獸形)으로 변모되었다. 천판(天板) 외연에는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의 장식이 없이 연판문을 둘렀고, 상대에는 그 상부에 연주문대(連珠文帶)를 두르고 하단에는 기하학적인 형태의 화문대를 시문하였다.

상대(上帶)보다 폭이 늘어난 하대 역시 상·하단으로 구획하였는데, 각 단에는 연속된 방형구획으로 나누어 그 내부마다 도식적인 형태의 화문을 장식하였다.

특히 이 종은 종신에 연곽(蓮廓)이나 당좌(撞座)·비천상(飛天像) 등이 전혀 표현되지 않은 대신, 상대 아래 붙은 중판(重瓣)의 연화문대 아래로 커튼 장식과 같이 U자형으로 늘어진 연주와 영락(瓔珞)이 화려하게 부조되었음을 볼 수 있다.

전통적인 고려범종 양식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제작자 나름대로 소화시킨 독창성이 돋보이는 예로서 13세기 초경 제작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불교미술대전-불교공예-』(한국색채문화사, 199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