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액(度厄)’ 혹은 ‘제액(除厄)’이라고도 한다. 액막이는 대개 정월에 하는데 액이 닥쳐오리라고 생각될 때에 비정기적으로 행하기도 한다.
액막이를 하는 방법은 혼자서 간단히 하는 방법, 또는 무당 등을 불러서 하는 방법 등 다양한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정초에 삼재(三災)가 든 사람은 머리가 셋이고 몸뚱이가 하나인 매그림이나 호랑이그림 또는 부적을 방문 위나 문설주에 붙여서 액을 막는다.
또 그해의 신수가 나쁜 사람은 정월 열 나흗날 밤에 짚으로 오쟁이 세 개를 만들어 그 속에 모래나 돌, 그리고 동전 몇 닢을 넣고 개천이나 징검다리 사이에 놓아 디딤 다리가 되게 하는데, 이를 ‘오쟁이 다리놓기’ 또는 ‘노두(路頭)’라고 한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남자의 나이 10세, 여자의 나이 11세가 되면 재액을 가져다주는 별인 ‘제웅직성[羅睺直星]’이 찾아오기 때문에 이 별을 쫓고 화를 면하기 위해서 짚으로 제웅(짚으로 만든 사람의 형상)을 만들어 옷을 입히고 그 안에 동전과 성명·출생년의 간지(干支)를 적어 넣고 세 갈림길에 버리는 액막이를 한다.
또 그해에 액이 든 사람이 자기 나이 수대로 삶은 팥알을 가지고 밭에 가서 구덩이를 파고 그 팥알을 하나씩 넣어 묻는 액막이를 하는데 이것을 ‘매성이 심기’라고 한다.
남자 13세, 여자 14세, 그리고 그 뒤 9년마다 돌아오는 해직성[日直星]이나 남자 15세, 여자 16세, 그리고 그 뒤 9년마다 돌아오는 달직성[月直星]을 만난 사람은 종이로 해와 달과 자기의 버선본 모양을 오려 대나무에 끼워 지붕의 용마루에 꽂는 액막이법이 있다.
또 남자 12세, 여자 13세 그리고 그 뒤 9년마다 돌아오는 물직성[水直星]을 만난 사람은 종이에 밥을 싸서 우물물 속이나 흐르는 물에 던져 넣어 액을 막는 방법도 있다.
액막이로 하는 연날리기는 ‘액연’ 또는 ‘방연(放鳶)’이라고 하는데, 이 연날리기는 남자아이들이 연에 ‘송액(送厄)’·‘송액영복(送厄迎福)’·‘재액소멸(災厄消滅)’ 등의 글귀나 성명과 생년의 간지를 써서 띄우다가 줄을 끊어 날려버리는 놀이이다.
여자아이들이 정월대보름 저녁 때 나무로 만든 세 개의 호로(葫蘆)에 청·홍·황색을 칠하여 색실로 끈을 만들어서 차고 다니다가 길에 몰래 버리는 액막이법도 있다. 그리고 열두 달의 액운을 막기 위하여 열두 개의 다리를 밟는 ‘답교(踏橋)놀이’도 액막이의 한 방법이다.
또 정월대보름에 달집을 태울 때, 자기 옷의 동정이나 저고리를 불사르면 액막이가 된다고 한다. 오월단오에는 남녀가 창포탕(菖蒲湯)을 만들어 세수를 하며 창포뿌리에 ‘壽(수)’·‘福(복)’자를 새겨 비녀를 만들어서 그 끝에 연지를 발라 머리에 꽂는 액막이도 있다.
유두날에는 밀가루로 구슬모양의 유두면(流頭麵)을 만들어 먹거나 유두면에 오색의 물감을 들여 세 개를 이어 색실로 꿰어차고 다니거나 문설주에 걸어두면 명이 길어지고 액막이도 된다고 한다.
전라남도 무안군에서는 ‘용왕 공드리기’의 액막이를 행하는데, 먼저 정월 열 나흗날 밤 인적이 드문 때, 달걀껍질에 참기름을 붓고 불심지를 만들어 불을 켜서 이것을 바가지 속에 넣고 동네 샘물 위에 띄운다.
물위에 띄워두었다가 다음날 새벽에 거두어들이는데, 이것은 용왕에게 공을 드려 불씨를 올림으로써 액을 막아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또한, 전라남도 고흥군에서는 그해의 운수가 나쁘다고 할 때 이의 액막이로서 ‘용왕 밥주기’를 하는데, 바가지에 불을 켜놓고 밥과 액막이할 사람의 이름을 쓴 종이를 담아서 먼바다에 띄워보낸다.
이와 비슷하게 정월보름 밤, 그해의 액막이를 위하여 깨끗한 종이에 흰밥을 싸서 강물에 던져 고기가 먹게 하는 액막이도 있는데, 이것을 ‘어부슴’ 혹은 ‘어부심’이라고 한다.
그리고 한 가정의 1년 동안의 태평을 빌기 위해서 길일(吉日)을 택하여, 무당·경문쟁이·점쟁이 등을 불러 경을 읽어 액막이를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액막이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서울 지방의 경우, 정초에 그해의 재액을 물리치기 위한 액막이굿을 행하며, 전라도 지방의 경우, 정초는 물론, 하는 일이 잘 안되거나 가족이 군에 입대할 때에도 한다.
액이 찾아들 때는 개인이나 한 가족이 그 대상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액막이는 개인이나 가족을 단위로 행하게 되고, 가족적인 행사로 치르게 되며, 한 마을을 대상으로 찾아드는 액을 막고자 할 때는 마을단위의 동제(洞祭)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액막이는 재난·질병 등의 재액이 물리적인 실체를 지니고 인간의 생활공간을 내왕한다는 생각에서부터 생겨난 행위이며, 재액을 적극적인 자세로 대처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풍요와 건강, 가정의 안정을 유지하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