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명주사 동종 ( )

목차
관련 정보
양양 명주사 동종
양양 명주사 동종
공예
유물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 명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양명주사동종(襄陽明珠寺銅鐘)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0년 02월 26일 지정)
소재지
강원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 명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
내용

1704년(숙종 30) 제작. 높이 84.2㎝. 1980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쌍룡(雙龍)의 용뉴(龍鈕 : 종의 꼭지부분 장식)와 하대(下帶)를 지닌 혼합형 종으로서, 하나의 가느다란 몸체로 이루어진 두 마리의 용뉴는 그 머리가 왜소하면서도 휘어진 혀와 이빨이 강조되어 괴수처럼 표현되었으며 턱 밑에 붙은 보주가 천판(天板)까지 연결되었다.

천판 외연에는 1조의 융기선이 돌려지고 상대(上帶) 없이 종신(鐘身) 상부에 바짝 붙여 방형의 연곽(蓮廓)을 4면에 두었다. 이 연곽대에는 호형(弧形)을 이루며 엇갈리게 표현된 파도문을 시문하였고, 내부의 연뢰(蓮蕾)는 원권(圓圈)을 두른 5잎의 연화 위에 얕게 돌기된 형태이다.

그리고 연곽과 연곽 사이에는 원권의 범자문(梵字文)을 상부에 배치하고 이 범자문 아래로 연꽃가지를 들고 구름 위에 서있는 보살상이 1구씩 부조되었다.

일반적인 범종의 범자문이 상대처럼 종신 상부에 돌려지는 것과 달리 연곽과 연곽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그 수효가 4개로 줄어들었고, 그 바로 아래 보살상이 매우 작은 크기로 배치된 점이 이색적이다.

한편 종신 하단부를 돌아가며 크고작은 방형의 명문판(銘文板)을 별도로 붙여 양각시켰으며, 종구(鐘口) 부분에는 하대를 만들어 연당초문을 장식하였으나 문양이 거칠고 매우 도식적으로 처리되었다. 명문에 의하면 이 종은 원래 태백산 대흥사(大興寺)의 대종으로 100근(斤)의 중량을 들여 개주(改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양양군(襄陽郡)의 역사(歷史)와 문화유적(文化遺蹟)』(강원대학교박물관, 1994)
「한국범종(韓國梵鐘)에 관한 연구(硏究) -조선조종(朝鮮朝鐘)의 특징(特徵)-」(염영하, 『범종』11, 198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