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사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승정원주서, 춘추관기사관, 시강원설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상경(商卿)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56년(효종 7)
사망 연도
1698년(숙종 24)
본관
함종(咸從, 지금의 평안남도 강서)
주요 관직
승정원주서|춘추관기사관 시강원설서(承政院注書兼春秋館記事官侍講院說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승정원주서, 춘추관기사관, 시강원설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상경(商卿). 교관 어몽린(魚夢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군판관(水軍判官) 어한명(魚漢明)이고, 아버지는 정랑 어진척(魚震陟)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첨추(僉樞) 이문행(李文行)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2년(숙종 8) 사마시에 합격하고, 1684년에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송시열(宋時烈)을 변무(辨誣)하였다. 1697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곧 주서로 붓을 들고 입시하였다. 아량이 있었고 장래가 촉망되었으나 불행히 여역(厲疫)에 걸려 43세로 요절하였다.

뒷날 이세백(李世白)은 어사상이 문직을 거치지 못함을 애석하게 여기고, 경연(經筵)에서 임금에게 주달하였다. 이에 승정원주서 겸 춘추관기사관 시강원설서(承政院注書兼春秋館記事官侍講院說書)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국조방목(國朝榜目)』
『한수재집(寒水齋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