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제 ()

목차
민간신앙
의례·행사
매년 7월15일과 10월15일에 서울 북교 여단(厲壇)에서 여귀(厲鬼)로 인한 탈을 막고자 행하던 무속의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매년 7월15일과 10월15일에 서울 북교 여단(厲壇)에서 여귀(厲鬼)로 인한 탈을 막고자 행하던 무속의례.
내용

여귀란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제사를 받을 수 없는 무사귀신(無祀鬼神) 또는 무적귀신(無籍鬼神)을 말한다. 이들 무사귀신은 사람에게 붙어 탈이 나기 때문에 이를 제사지냄으로써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조선시대에는 예조에서 사관(祀官)을 파견하여 매년 2회(7월 15일, 10월 15일) 북교(北郊)에 있는 여단(厲壇)에서 성황(城隍) 1위와 무사귀신 15위를 제사지냈다.

이 때 제관은 한성부윤이 하였는데, 15위의 신위가 봉상시에 모셔진 것으로 보아 알 수 있다. 동서 2좌로 동좌는 6위이고 서좌는 9위이다.

동좌는 주로 도둑, 강도하다가 죽은 사령을 비롯하여 도덕적으로 악행을 한 자의 사령을 모셨고, 서좌는 전사자·무후사자(無後死者) 등 불행한 사자를 모셨다.

참고문헌

『朝鮮の鬼神』(村山智順, 朝鮮總督府, 193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