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무공원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제도
1888년(고종 25)에 설치된 사관양성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88년(고종 25)에 설치된 사관양성학교.
개설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으로 신식군대 양성이 좌절되자, 정부는 1883년부터 장교를 양성하고 군대를 근대식으로 훈련시키기 위해 미국에 군사교관을 보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1888년 4월 수석교관 다이(Dye,W. M.), 조교관 커민즈(Cummins,E. H.) · 리(Lee,J. G.)와 일본의 미국영사관에 근무하던 닌스테드 (Nienstead,F. J. H.) 등 4명의 미국인 교관이 내한하였다.

이들은 모두 퇴역 군인들로서, 다이 수석교관을 제외한 3명은 정규 사관학교 교육을 받은 장교는 아니었다. 조선 정부는 미국인 교관이 도착하면 곧 훈련을 시작할 수 있도록 1888년 1월부터 연무공원의 설치 준비를 시작하여 2월 6일에 완성하였다.

내용

입학자 자격은 시(時) · 원임(原任) · 장신(將臣) · 아장(亞將)의 자제와 친척으로서 16세 이상 27세 이하의 젊은이로 하였다. 미국인 교관들은 부임초 훈련의 방법과 내용에 모든 정열을 기울였고, 학생들도 열성을 가지고 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이 열의와 성의는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다. 학생들이 양반 신분에 속하여 엄격한 군대 훈련을 받으려고 하지 않았고, 연무공원을 졸업한 뒤에도 과거에 합격해야만 무관이 될 수 있다는 제도상의 불합리와 무인을 천시하던 당시의 의식구조 때문이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의 재정난으로 교관들에게 약속된 봉급을 제때 주지 못함으로써 사기가 저하되었고, 교관 상호 간의 시기와 불신, 교관을 파견하고자 하는 열강의 획책 등도 작용하였다. 더구나, 교관들은 당초의 계획과는 달리 사관뿐만 아니라 시위대(侍衛隊)를 포함한 궁성수비대의 일반 군인들까지도 훈련을 시켜야 하는 등 업무가 과중하여 효과적인 교육을 할 수 없었다.

별다른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던 연무공원은 1894년 7월 23일 일본군에 의한 경복궁 점령으로 무장 해제당하고, 보유하던 신식 무기도 빼앗긴 채 형식적으로만 존재하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17일 칙령으로 재래의 군사기관이 모두 군무아문(軍務衙門)에 흡수되면서 자연히 없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연무공원 출신 학생들은 한말 한국 군대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그 대표적 인물로 이진호(李軫鎬) · 이범래(李範來) · 남만리(南萬里) · 이병무(李秉武) 등을 들 수 있다. 역대 운영 책임자는 민영익(閔泳翊) · 한규설(韓圭卨) · 이종건(李鍾健) · 조희연(趙羲淵) · 민영준(閔泳駿) · 김학우(金鶴羽) 등이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일성록(日省錄)』
『관보(官報)』
『대한제국관원이력서(大韓帝國官員履歷書)』
『고종시대사(高宗時代史)』 3(국사편찬위원회, 1969)
「미국군사교관(美國軍事敎官) 용빙시말기(傭聘始末期) 편고(片考)」(유영익, 『군사(軍史)』 4, 1982)
「한말고빙군사고문(韓末雇聘軍事顧問)이 군부지도층(軍部指導層)의 정치적(政治的) 태도(態度)에 미친 영향」(우철구, 『사회과학연구(社會科學硏究)』 1, 영남대학교, 1981)
「미국군사교관(美國軍事敎官)의 초빙(招聘)과 연무공원(鍊武公院)」(이광린, 『한국개화사연구(韓國開化史硏究)』, 일주각, 1970)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