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하장 ()

목차
사회구조
개념
새해를 축하하는 인사편지 또는 그에 이용되는 엽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새해를 축하하는 인사편지 또는 그에 이용되는 엽서.
변천

15세기 독일에서 아기 예수의 모습과 신년을 축복하는 글이 담긴 카드를 동판(銅版)으로 인쇄한 것이 연하장의 시초이다. 그러다 18세기 말에 이르러 명함이 나돌면서 이에 그림을 넣는 새로운 풍습이 시작되었고, 독일·오스트리아·프랑스 등지에서는 이를 신년을 맞아 친지들에게 보내는 인사장으로 사용하였다.

19세기 후반부터 영국과 미국에서 크리스마스 카드를 주고 받게 되면서 크리스마스 축하와 신년 인사를 함께 인쇄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연하장의 전신이다.

우리에게도 신년에 상대방을 직접 찾아가 인사를 드리지 못하는 경우 아랫사람을 시켜 문안의 서찰을 보내는 풍속은 있었는데, 조선시대 세함(歲銜)이 그것이다.

새해가 되면 각사(各司)의 아전과 군영(軍營)의 교졸(校卒)들은 자기 이름이 적힌 쪽지(명함)를 관원이나 상관의 집에 보냈다. 또 자신이 직접 가더라도 그 표적으로 이것을 놓고 나오는 것이 관례였다. 한편, 상대방 집에서는 세함상이라 하여 부재중에 세배온 사람이 명함을 두고 가는 상자를 마련해 두거나 손님이 자기의 이름을 적을 수 있도록 세장(歲帳)과 벼루, 붓 따위를 갖추어 놓는 것이 상례였다.

한편 중류 이상 가정의 부인들은 문밖 출입이 자유롭지 못하였으므로 초사흘이 지나면서 자기 집의 여종을 곱게 차려 입혀 일가 친척이나 인사드려야 할 어른들을 찾아뵙도록 하였는데 이를 문안비(問安婢)라고 불렀다.

문안비들이 들고 다니는 단자에는 소재(蘇才:소동파의 재주를 갖추라는 뜻)·곽복(郭福:곽자의처럼 부자가 되라는 뜻)·희자(姬子:왕희처럼 자녀복을 누리라는 뜻)·팽수(彭壽:팽조처럼 3,000년 장수를 누리라는 뜻) 따위의 글 가운데 상대방이 원하리라고 생각되는 것을 골라 적었다. 문안비를 맞는 집에서는 세뱃돈과 세배상을 대접하였으며 자기 집의 종을 답례로 보냈다.

내용

이러한 풍속은 한말 이후 우편제도가 생겨나면서 점점 사라졌으며 오늘날과 같은 새해 축하인사를 위한 연하전보 및 연하우편이 등장하게 되었다.

연하전보는 신년을 축하하여 보내는 특별 취급 전보의 하나이며, 연하우편은 연하장을 우체국에서 연말에 받아두었다가 이듬해 1월 1일자의 소인을 찍어서 그날 첫번째로 배달하는 제도이다. 연하장을 주고 받는 풍속이 유행됨에 따라 오늘날에는 축하 문구와 그림이 인쇄된 연하엽서도 나왔다.

인터넷이 일상생활에 깊숙이 들어온 현재는 연하장을 주고받는 모습도 많이 달라졌다. 몇 번 클릭만으로 보내는 인터넷 카드는 종이 카드를 고르고 우표를 붙이고 발송하는 과정이 불필요한 간편함과 많은 사이트에서 무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무비용성 등으로 인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인터넷 연하장 혹은 사이버 카드는 간편하고 비용이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수많은 사람에게 동시에 보낼 수 있는 특징도 있다. 2005년 새해에 대통령이 40만 여명의 국민에게 경제회복 덕담을 담은 플래시 형태의 인터넷 연하장을 발송한 것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인터넷 연하장은 그림 카드뿐 아니라 애니메이션 카드, 동영상 카드, 캐롤송 등 배경음악까지 전하는 음악 카드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참고문헌

『한겨레21』(1999.12.23)
집필자
김소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