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러기아빠

사회구조
개념
자녀 교육을 위하여 배우자와 자녀를 외국으로 떠나보내고 홀로 국내에 남아 뒷바라지하는 아버지. 기러기가족 · 국제적 비동거 가장 · 신글로벌 별거 가족.
이칭
이칭
기러기가족, 국제적 비동거 가장, 신글로벌 별거 가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자녀 교육을 위하여 배우자와 자녀를 외국으로 떠나보내고 홀로 국내에 남아 뒷바라지하는 아버지. 기러기가족 · 국제적 비동거 가장 · 신글로벌 별거 가족.
연원 및 변천

기러기 아빠는 1990년대 조기유학 열풍에서 생겨난 현상으로, 평소에는 한국에 머물며 돈을 벌다가 일 년에 한두 번씩 가족이 있는 외국으로 날아간다는 점에서 철새인 기러기와 비슷해 이름이 붙여졌다.

우리 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기러기 아빠’라는 용어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독특한 가족형태를 일컫는 신조어로 학술적으로 규정·합의되지는 않았지만, 사회학, 복지학, 가족학 분야에서는 이미 널리 활용될 뿐 아니라 새로 출간된 국어사전 『훈민정음』에 수록되었고, 국립국어원『2002년 신어』 보고서에도 신조어로 포함되었다.

내용

기러기가족은 자녀들을 조기 유학 보내는 과정에서 부인마저도 자녀와 함께 보내고 국내에 홀로 남아 직장생활을 하면서 가족의 생활비 및 교육비를 송금하는 아버지들, 속칭 ‘기러기 아빠’들과, 외국에서 공부하는 자녀와 이들을 보살피기 위해 따라간 기러기 엄마로 가구 분리 형태를 나타낸다.

기러기 아빠가 등장한 가장 큰 원인은 조기 유학이지만, 그 배경에는 무너진 공교육과 치솟는 사교육비라는 교육 문제가 있다. 자녀에게 좀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초중고생 자녀들을 외국으로 유학 보내고, 정작 아버지 자신은 경제적 뒷받침을 위해 국내에 남는 것이다.

기러기 아빠 중에는 자식에 대한 투자만큼 확실한 노후보장이 없다고 주장하며 중년의 솔로 생활을 최대한 즐기자는 사람들도 있지만, 스스로 돈 버는 기계로 전락한 듯한 자괴감을 느끼는 경우가 더 많다. 오랜 시간 떨어져 지내면서 부부 관계가 소홀해져 이혼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고, 서구권 문화에서 유학한 자녀들과 아버지가 문화적 갈등을 일으키는 일도 빈번하여 극단적으로는 가족 붕괴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정신적 외로움과 경제적 중압감을 견디지 못한 기러기 아빠의 자살이 사회 문제가 되기도 하고, 막대한 외화 유출 역시 기러기 아빠가 빚은 사회 문제의 하나이다.

현황

기러기 아빠는 1990년대 중반부터 중산층 이상의 30∼40대에서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특수 계층에 한해서 제한적으로 나타났지만 점차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1998년 1,562명이던 조기유학생이, 2007년에는 총 2만 9,511명으로 전년도의 2만 400명에 비해 무려 44.6% 증가했다. 조기 유학생 증가뿐 아니라 2003년도에 사상 처음 유학 비용이 2조원을 넘어섰고, 2004년 5월까지의 유학 비용만 10조원에 이른다.

의의와 평가

기러기 아빠는 단순한 가족 현상을 넘어,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조기 교육, 입시 경쟁, 과도한 교육열, 영어 숭배, 양극화에 따른 계층 재생산 등 다양한 차원의 복합적 사회 현상이다.

참고문헌

『3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대중문화 20년, 대중문화사전』(김리란·최기호, 현실문화, 2009)
『조기 유학, 가족 그리고 기러기 아빠』(최양숙, 한국학술정보, 2005)
『2002년 신어 보고서』(국립국어원, 2002)
「강준만의 인간학 사전」(강준만,『인물과 사상』, 2006년 1월호)
「세계화의 최첨단에 선 한국의 가족-신글로벌 모자녀 가족 사례 연구」(조은,『경제와 사회』, 2004)
집필자
김소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