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대문을 들어서면 담장 안이 상당히 광활하다. 안마당에는 화초를 가꾼 화단이 크게 자리잡았으나 허전한 느낌이고 짜임새가 없어 보인다.
안채 앞쪽에 큼직한 사랑채가 있었고 그 밖에도 여러 채의 건물이 있었던 것이 없어져 썰렁한 맛을 풍기고 있다. 안채는 산기슭에서 서남향을 하고 앉았다.
ㄇ자형의 구성인데 좌우날개에서 2칸씩이 앞쪽으로 나와 있다. 정면 6칸이나 몸체는 좌우날개를 제외한 4칸이다. 몸체는 앞뒤퇴가 있는 구성인데 4칸의 서쪽 두 칸이 안방이다. 안방의 아랫방에는 뒤퇴에 벽장을 들여 수장공간을 삼았고 윗방은 뒤퇴까지를 포괄하여 넓게 잡았다.
아랫방과 윗방 사이에는 샛장지가 설치되어 있고 윗방에서 대청으로 나가는 벽에는 두짝문을 두 곳에서 나누어 달았고 따로 외짝만을 하나 더 만들어 출입을 편리하게 하였다. 윗방 다음으로 대청 2칸이 있다. 역시 뒤퇴까지를 넣어 넓게 잡았다.
방의 앞에서부터 시작된 앞퇴가 대청 앞으로도 계속된다. 방의 앞벽에는 머름을 드린 분합문이 창으로 열려 있고 대청에는 사분합의 문짝들이 달려 있다. 방의 뒷벽 밖으로는 기둥 밖으로 놓은 쪽마루가 있는데 이 쪽마루는 대청 뒤를 지나 동편 날개 뒷부분에까지 계속된다.
이 쪽마루에 나설 수 있도록 방에서는 뒷문을, 대청에서는 바라지창을 달았고 동편날개 뒤에서는 사분합을 설치하였다. 대청에서는 서까래까지가 다 드러나 보이는 연등천장을 하였는데, 가구는 오량(五樑)이고 도리는 굴도리이며 받침장여를 받쳤다. 대공은 판대공인데 사다리꼴이다.
안방의 서편이 서쪽 날개에 해당한다. 날개는 단칸통이어서 삼량으로 구조되어 몸체의 오량보다는 낮아지게 되었다. 이는 지붕에서도 드러나 몸체 지붕은 높직하게 솟았는데 비하여 날개쪽 지붕은 차분하게 내려앉았다. 서쪽날개의 지붕 끝은 맞배지붕이고 동편은 팔작지붕이다.
좌우를 대칭시키지 않은 구조가 흥미있는데, 이 집의 특징이라고 할 만하다. 서쪽의 날개에는 안방에 이어 부엌 3칸이 있다. 서쪽벽을 빈지벽으로 해서 밖으로 밀어내고 거기에 살강을 설치하였다. 그만큼 부엌은 넓어졌다. 부엌머리 위로 다락을 만들었는데 안방에 연한 2칸에만 구조하였다.
부엌 남쪽에 뜰아랫방 1칸이 있는데 방 앞으로 쪽마루가 있다. 서쪽날개는 대청에 이어진다. 역시 마루를 깐 구조가 계속되나 분합의 샛장지를 달아서 구분하였다. 뒷벽에 쪽마루로 나갈 수 있게 사분합을 달았듯이 동편벽에도 사분합을 달았다. 필요에 따라 다 열면 세 방향의 외기(外氣)가 한꺼번에 들어오게 되었다.
내루(內樓: 사랑채의 한 칸을 다락으로 꾸민 것)와 같은 쓰임을 위하여 계획된 부분이다. 그 남쪽으로 방 2칸이 계속된다. 아랫방과 윗방 사이에 샛장지가 있다. 지금 안사랑이라 하는 건물은 별당채였다. 샛담장을 쌓았고 완전히 돌아앉아 있다. 정면 4칸, 측면 2칸의 一자형 구조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