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청진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이 유적은 성격상 유물포함층에 속하며 독립된 유적으로 된 것은 아니다.
유적이 위치한 지형은 광암벌 남단에 있는 옥려봉 주변에 과거부터 원시시대의 유물이 널리 산포되어 있는 지역이며, 이곳에서 지표와 20∼50㎝ 밑에 얇게 깔려 있는 검은 진흙층이 유물을 포함하고 있는 문화층으로 나타나 있으나, 풍수에 의하여 심하게 파괴된 상태이다.
출토된 석기로는 석부 2점, 석착 1점, 석추 1점, 반월형석도 1점, 흑요석 석기 등 다수가 있고, 토기로는 빗살무늬ㆍ빗금문살무늬ㆍ삼각형무늬ㆍ평행선무늬 등이 시문된 흑색토기 조각과 적색 토기파편들이 있다.
그리고 이들 유물 가운데 시문토기와 흑요석기는 함경북도일대의 신석기유물과 유사하나 적색토기와 흑색토기 등은 이 지방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흔히 보이는 유물들이며, 평행선무늬 토기들은 드물게 보이는 것으로 주목된다. 특히, 이들 유물을 통해서 문화층이 같은 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중요한 유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