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구. 왼쪽 불상(向右佛像) 99.5㎝, 대좌 높이 105cm, 오른쪽 불상(向左佛像) 103㎝, 대좌 높이 102cm.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자인당은 무량수전 뒤편 높은 언덕에 위치하며 현재 3구의 불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 두 불상은 원래 부석사의 동쪽에 있던 절터에서 옮겨온 것이다. 부분적으로 파손이 심한 편이지만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갖춘 불상들로서 조각 수법이라든지 형식·양식이 매우 유사하다.
왼쪽 불상은 8각의 연화대좌에 결가부좌한 상이다. 지금은 두 손이 부러졌지만 가슴 앞에서 아래위로 놓인 점으로 보아 전형적인 지권인(智拳印)을 한 비로자나불임을 알 수 있다. 나발(螺髮)의 머리에는 육계(肉髻)가 불분명하며, 얼굴은 둥근 편으로 단정한 인상이다. 백호(白毫 :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는 큼직하며 눈썹 사이로 바싹 내려왔다.
작은 눈·코·입에 인중이 두드러졌고 귀는 짧게 묘사되었다. 군살진 턱 밑에는 삼도(三道)가 보이고, 어깨는 비교적 넓게 표현되었으나 신체의 볼륨은 없는 편이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으로 얇게 빗은 듯한 평행 계단식 옷주름이 양팔과 배, 두 다리에 걸쳐 표현되고 있다. 넓은 무릎은 신체와 잘 조화를 이루며 단정하고 안정된 자세를 보여 주고 있다.
광배는 주형 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로 비스듬히 깨어진 것을 붙여 세워 놓았다. 내부는 두 줄의 양각선으로 두광(頭光)·신광(身光)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신광의 가장자리에 좌우 각각 삼존화불(三尊化佛)을 배열하였으며, 두광의 윗부분에도 삼존화불을 배치하였다. 두광의 안에는 다시 두 줄의 선으로 새기고 안에는 연꽃무늬, 밖에는 보상화문(寶相華文)을 둘렀다. 두광·신광의 밖에는 불꽃무늬를 조각하였으나, 조각이 얕고 느슨하다.
대좌는 상대·중대·하대로 구성된 높은 8각연화대좌(八角蓮花臺座)이다. 상대는 깨어져서 명확하지는 않으나 오른쪽 불상의 상대와 같은 단판중엽연화문(單瓣重葉蓮花文)이라 생각된다. 중대는 8각으로 모서리마다 우주(隅柱 : 모서리 기둥)가 있고, 각 면의 안상(眼象) 속에는 불·보살상이 얕게 부조되었다. 하대는 8각의 복판복련화문(複瓣覆蓮花文) 밑에 8각의 각 면에 안상을 새기고 사자 등 동물상을 양각하였다.
오른쪽 불상은 기본 형태에 있어 왼쪽 불상과 거의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불상의 자세가 보다 안정감이 있으며 신체의 양감이 좀더 풍부하며 세부 묘사도 부드럽고 유려한 편이다. 이 불상 역시 두 손은 깨어졌지만 지권인이 확실하므로 비로자나불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광배는 앞 불상과 다소 달라서 차이가 난다. 꼭지 부분과 왼쪽이 약간 절단되었지만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거신광배의 내부는 두 줄의 양각선으로 두 신광을 구획하고, 가장자리에 좌우 각각 3구씩 6구의 화불(化佛)을 배열하였으며, 윗부분에는 삼존화불을 배치하였다.
두광의 내부는 다시 두 부분으로 나누어 안에는 연꽃무늬, 밖에는 하엽문(荷葉文 : 연잎무늬)과 같은 것을 새겼다. 두광·신광 밖에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대좌는 앞 불상과 거의 유사하나 다만 하대석의 아랫부분에 사자상 외에 향로 등이 조각된 점이 주목된다.
이 두 불상에서 보이는 양식적인 특징, 즉 육계가 불분명하고 작은 눈·코·입에 미소가 사라진 단정한 얼굴이라든지 신체의 양감이 없어져 평판적인 느낌을 주는 점, 평행 계단식의 옷주름, 단정하고 안정된 자세, 화려한 광배와 상·중·하대로 이루어진 8각연화대좌 등은 경상북도의 9세기 석불들과 같은 양식에 속하는 것이다. 이 석불좌상들의 조성 연대는 9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